'K자형 양극화' 극복 가능할까...'부작용 엇박자' 우려도 / YTN

'K자형 양극화' 극복 가능할까...'부작용 엇박자' 우려도 / YTN

정부는 코로나 팬데믹 충격으로부터 '완전한 경제회복'과 '선도형 경제로의 구조 대전환'이라는 양대 목표를 하반기 경제정책의 축으로 삼았다고 발표했습니다. br br 하지만 현재 우리가 당면한 이른바 'K자형 양극화' 문제를 내수진작책으로 해결하려는 것에 대해 통화와 재정 정책 간의 '엇박자'여서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올해 경제성장률 4.2 성장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의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의 핵심은 적극적인 내수 진작책입니다. br br 코로나19 위기로 휘청였던 한국 경제가 올해 들어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연말까지 확장적 재정 운용, 즉 약 30조 원대의 돈 보따리를 푸는 기조를 공고히 하겠다는 취지입니다. br br 코로나 충격으로 'K자형 양극화'의 그늘에 있는 경기민감 소기업 등 피해계층과 빈곤층에 대한 지원을 담아 경기 회복의 온기를 경제 전체로 가도록 하는 데 초점을 뒀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 br br 이를 위해 추경을 편성해 현금성 지원금 등이 포함된 이른바 세 종류의 코로나 극복 패키지 등의 대규모 부양책과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 등이 진행됩니다. br br 문제는 확장 재정정책과 각종 부양책 등의 효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는 점. br br 특히 올해 1분기 가계 부채가 1,765조 원으로 선진국 평균보다 빠르게 천문학적으로 급증하는 것 등을 감안해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상황이어서 통화와 재정 정책 간 '엇박자'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특히 최근에 자산시장으로 자금 쏠림이 뚜렷해지고 있고 또 가계부채가 여전히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이제 금융 불균형이 그야말로 누적되는데…] br br [홍남기 경제부총리겸 기획재정부장관 : 저는 이것이 거시정책간에 어떤 엇박자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서로 존중해서 조율을 해나가야 될 또 조화롭게 갈 필요는 있지만 재정정책은 재정정책대로….] br br 정부는 코로나 팬데믹 충격으로부터 '완전한 경제회복'과 '선도형 경제로의 구조 대전환'이라는 양대 목표를 하반기 경제정책의 축으로 삼았다고 발표했습니다. br br 당면한 'K자형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는 기초가 될지 그 반대가 될지 주사위는 던져졌습니다. br br YTN 김상우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8

Uploaded: 2021-06-28

Duration: 02:3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