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물난리' 섬진강 수해…보상·원인 조사 하세월

'최악의 물난리' 섬진강 수해…보상·원인 조사 하세월

'최악의 물난리' 섬진강 수해…보상·원인 조사 하세월br br [앵커]br br 지난해 섬진강 일원도 최악의 물난리를 겪었는데요.br br 마을들이 잇따라 물에 잠기면서 수천 명이 집을 잃었습니다.br br 피해액은 수천억원에 달하는데 피해 보상과 원인 조사는 하세월입니다.br br 김경인 기자가 섬진강 사람들을 만났습니다.br br [기자]br br 기록적인 물폭탄이 떨어진 지난해 8월.br br 전남 구례는 강 제방이 무너지면서 삽시간에 물바다가 됐습니다.br br 주민들은 빗물과 강물 앞에 모든 것을 잃었습니다.br br 그리고 열한 달. 여든셋 김보운 할머니는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습니다.br br 두 식구가 임시 주택에 간신히 몸을 뉘고 있습니다.br br 비좁은 탓에 냉장고는 마당으로 나왔습니다.br br 수마가 휩쓸고 간 뒤 남은 건 하나도 없었습니다.br br "유리창이고 뭐고 다 깨지고, 위에는 부서지고. (떠내려갔어요?) 속이 벌렁거려서 말을 못 하겠어요."br br 그날의 기억은 트라우마입니다.br br "제발요. 제발. 비만 오려고 하면 걱정이 돼요. 비가 많이 떨어질 때 도랑이 넘실거리면 겁이 나."br br 구례에서는 30여 가구가 아직 이런 임시 주택에 살고 있습니다.br br "내 살림이 다 없어져 버린 상황에서 보상해준다는데 아무 진척은 없고. 막막하죠."br br 전북 남원도 피해가 컸습니다.br br 지붕까지 들어찼던 강물의 흔적은 아직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br br 홍수에 추억까지 사라졌습니다.br br "애들 앨범, 애들 초등학교 다닐 때 일기장, 상장 그런 것 다 싸놨는데 물에 다 잠기니까…"br br 수해 직후 아예 마을을 떠난 사람도 있습니다.br br 빈집에는 수마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br br "이 집이 (물에 잠겨) 못 고치니까. 돈이 없어서. 돈이 없어서 그냥 갔어요."br br 최악의 물난리가 난 지 벌써 1년 가까이 돼가고 있는데요.br br 하지만 수해민들은 아직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br br 섬진강댐의 무리한 방류 탓인지, 아니면 이 제방이 원래부터 약했던 탓인지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br br 정부가 6월 말까지 내놓겠다던 원인 조사 결과 발표는 또 미뤄졌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kikim@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1-07-03

Duration: 02:2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