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특공 평균 5억 상승…文 정부 상승폭 가장 커

세종시 특공 평균 5억 상승…文 정부 상승폭 가장 커

ppbr br 최근 관세평가분류원의 유령 청사 사건으로 세종시 공무원들의 아파트 특별공급 문제가 화제가 됐죠. br br시민단체가 특공 아파트 2만 6천 채를 전수 조사했는데, 시세가 평균 5억 원씩 급등한 것으로 집계됐고, 문재인 정부 때 오름폭이 가장 컸습니다. br br이른바 특공테크가 수치로 확인된 것입니다. br br남영주 기자가 설명합니다.brbr[리포트]br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세종시 공무원 특공 아파트의 시세 변화를 전수조사했습니다.brbr지난 2010년부터 올해까지 2만6천 채의 평균 분양가는 3억 1천만 원. br br현재 시세는 평균 8억 2천만 원으로 5억 원 넘게 급등했습니다. brbr이 가운데 입주가 완료된 1만4천 가구를 분석했더니, 지난 1년 사이에 3억 6천만 원이나 뛰었습니다. br br지난해 7월 여당 원내대표의 발언이 영향을 미친 걸로 분석됩니다. br br[김태년 당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지난해 7월)] br"국회가 통째로 세종시로 이전해야 합니다. 그렇게 했을 때 서울·수도권 과밀과 부동산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brbr역대 정권별로 비교해보면 문재인 정부 들어 상승폭이 가장 컸습니다.br br[윤순철 경실련 사무총장] br"땀 흘려 일해도 내 집 장만하기 어려운데도 불구하고, 특별하게 공급받았던 공무원들은 막대한 부를 취하게 된 결과가 있었고." brbr국토교통부 노형욱 장관과 윤성원 차관은 서울 강남에 집을 갖고도 특공을 분양받았다 매도해 수억 원의 시세 차익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br br경실련은 세종시뿐 아니라 전국의 모든 특공 물량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br br[현장음] br"공무원 특공 특혜 전면 폐지하고 투기소득 전면 몰수하라. br(몰수하라, 몰수하라, 몰수하라!)" br br또 설익은 국회 이전 발표가 아파트값 상승만 부추겼다며,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brbr채널A 뉴스 남영주입니다.br brdragonball@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2

Uploaded: 2021-07-05

Duration: 02: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