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란만 부추긴 2년 실거주 의무…부작용 남기고 결국 백지화

혼란만 부추긴 2년 실거주 의무…부작용 남기고 결국 백지화

ppbr br 시행 1년이 지난 임대차 3법, 임차인을 보호하려는 의도와 반대의 결과만 낳았다는 논란이 여전하죠. br br정부가 투기 잡으려다가 세입자들 피해만 준다는 비판을 받아 온 부동산 정책 하나를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br br현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철회된 첫 번째 사례인데, 무엇인지 이현수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brbr[리포트]br재건축 단지 조합원이 분양권을 얻으려면 2년간 의무적으로 재건축 대상 아파트에 실거주하게 한 정부 규제 방안이 폐지됐습니다. br br전세 난리통에 집주인이 분양권을 받기 위해 재건축 아파트에 입주할 경우 전세 물량이 더 줄어들 것으로 우려해 국토부가 철회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br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오늘 국토법안소위를 열고 민주당 조응천 의원이 발의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 가운데 해당 조항을 삭제하고 통과시켰습니다. br br지난해 정부가 투기 세력을 막겠다며 발표한 정책이 1년 만에 백지화 된 것으로 현 정부 중요 부동산 규제가 철회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br br[김현미 당시 국토교통부장관(지난해 6월)] br"수도권 투기과열지구의 재건축에서는 조합원 분양신청 시점까지 2년 이상 거주한 조합원에게만 분양신청을 허용하겠습니다." br br재건축 시장은 출렁거렸습니다. br br[서울 강남구 A 공인중개사] br"지금 뭐 발표난 지 몇시간 되지도 않았는데 그것때문에 다들 계약을 파기하냐 뭐하냐 지금 전화가 엄청나게 오네요" brbr주택임대사업자 폐지에 이은 재건축 실거주 의무 백지화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또 신뢰를 잃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채널A 뉴스 이현수입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6

Uploaded: 2021-07-12

Duration: 01:4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