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와이] "코로나19 치명률 0.1%"...독감처럼 공존 가능? / YTN

[팩트와이] "코로나19 치명률 0.1%"...독감처럼 공존 가능? / YTN

코로나19 4차 대유행 속에 오히려 치명률은 독감과 비슷한 0.1대로 떨어졌습니다. br br 코로나19와 공존을 선언한 다른 나라처럼 우리도 방역의 고삐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는데요. br br 과연 그런지, 강정규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19일 마스크를 벗은 영국, 코로나19와 공존을 선언한 이른바 '자유의 날'이었습니다. br br 국내에서도 코로나19 치명률이 독감 수준인 0.1대로 떨어졌다며, 방역대책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br br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 교수 : 사실 이미 치명률이 굉장히 낮아져 있는 상태라 우리가 과거처럼 확진자 수만을 가지고 방역을 하는 것은 너무 사회·경제적인 피해가 크기도 하고 효과도 저는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br br ▲ 치명률 0.1로 떨어졌다? br br 최근 국내 코로나19 치명률이 0.1안팎으로 떨어진 건 맞습니다. br br 그러나 4차 대유행이 시작되기 직전인 지난 5일 치명률은 0.5였습니다. br br 확진자 대비 사망자로 계산하는 치명률 셈식상, 코로나19 환자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일시적으로 치명률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br br [백순영 가톨릭의대 명예교수 : (치명률은) 환자 수 분의 사망자 수이기 때문에 실제로 환자 수가 많이 늘어나면 치명률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통계의 착시가 있긴 합니다.] br br 백신과 변이, 의료 체계 개선 등 변수는 많지만, 국내 코로나19 발병 이후 누적 치명률은 1.12%, 독감보다 여전히 10배나 높습니다. br br ▲ 독감처럼 공존 가능? br br 이른바 '뉴노멀'을 선언하며 방역 조치 완화에 나선 나라들, br br 높은 백신 접종률이 뒷받침했습니다. br br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코로나와 공존을 논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br br 백신을 맞지 않은 젊은 층 중심의 감염 고리를 제때 끊지 못한다면, 백신 항체를 무력화하는 변이의 출현 위험성도 덩달아 높아지게 됩니다. br br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지난 8일) :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발생하면서 전염력이나 치명률이 어떻게 변동할지에 대한 불확실성도 있고요.] br br 실제, 델타 변이가 90에 달하는 이스라엘의 경우 백신을 맞고도 확진되는 '돌파 감염'이 절반에 육박합니다. br br 얼마 전 확진자 집계 중단까지 언급했던 싱가포르도 코로나19 환자가 급격히 늘면서 풀었던 방역의 고삐를 다시 죄고 있습니다. br br YTN 강정규입니다.br br YTN 강정규 (live@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6

Uploaded: 2021-07-23

Duration: 02:5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