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예약 시스템’ 믿고 강행하다 예측 실패로 ‘먹통’

‘독감 예약 시스템’ 믿고 강행하다 예측 실패로 ‘먹통’

ppbr br 국내에는 코로나19 4차 유행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brbr오늘도 1600명 넘게 신규 확진자가 나왔는데, 이 와중에 백신 접종 예약이 시작부터 먹통이라 국민들 원성이 자자합니다. brbr채널에이 취재진이 예약 시스템 구축 과정을 들여다봤더니 예견된 실패에 가까웠습니다.brbr백신만 들어오면 얼마든지 맞출 수 있다, 큰소리 쳤지만, 시간에 쫓기다, 졸속으로 추진한 흔적들이 나왔습니다. brbr허욱 기자입니다. brbr[리포트]br[정은경 질병관리청장(지난 1월 11일)] br"백신 도입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 국민 대상으로 무료접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br br올해 초 전 국민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목표를 강조한 정부가 당장 필요했던 건 백신 사전 예약 시스템이었습니다. brbr그래서 질병청은 2월 초 한 중소업체와 사전 예약 시스템을 개발하는 위탁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br br시스템 분석과 설계, 성능 구현과 테스트를 거쳐 실제 사용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기간은 열 달 정도였지만, 주어진 기간은 불과 넉 달.br br때문에 기존 독감 접종 예약 시스템을 기반으로 속도전으로 진행했습니다. br br뚜껑을 연 결과는 '먹통'이었습니다. br br50대 연령층의 사전 예약 접속자 수를 예상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br br[정우진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지난 20일)] br"예약 대기자 수가 기존 저희가 예약을 받으려고 하는 대상자 대비 너무 많은 인원 수를 보유" br br백신 종류와 대상자 정보가 계속해서 바뀌는데 이를 반영한 사전 테스트 시간이 부족했던 탓에 갖가지 오류도 터졌습니다. br br[시스템개발업체 관계자] br"동일한 환경에서 테스트하는 게 쉽지 않아서 테스트 환경이 좀 어려웠던 부분이 있죠." br br7월 백신 예약 대란은 예견된 거나 마찬가지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br br[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 br"정부 내에서 전문가가 없다 보니까. 그리고 평소에 준비를 안 하다 보니까." br br질병청은 접속자 수 분산을 위해 초기 화면 관리를 네이버 클라우드로 넘긴데 이어 40대 이하 예약을 앞두고 예비 20대를 포함한 40대의 서버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허욱입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6

Uploaded: 2021-07-24

Duration: 02:0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