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세계 집값 '껑충'…30년 만에 최고 상승률

코로나에 세계 집값 '껑충'…30년 만에 최고 상승률

코로나에 세계 집값 '껑충'…30년 만에 최고 상승률br br [앵커]br br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들의 집값이 30년 사이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 br 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한 저금리 정책으로 통화량이 늘면서 주택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br br 건자재 가격 급등으로 공급이 줄어든 것도 원인으로 꼽힙니다.br br 김영만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집값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 br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에 가입된 40개 나라의 1분기 평균 집값을 분석해 보니, 전년 동기 대비 9.4 상승했습니다.br br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겁니다.br br 특히 한국과 영국, 뉴질랜드, 캐나다 등의 급등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br br 한국의 1분기 명목 주택가격지수는 112.4로 작년 동기보다 6.7 올랐습니다.br br 미국의 주택 가격도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br br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5월 주택가격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16.6 급등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br br 1987년 통계 작성 이래 34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한 겁니다.br br 미국에서 가장 집값이 많이 오른 도시는 피닉스와 샌디에이고, 시애틀로 23.4에서 25.9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 br 집값의 큰 폭 상승은 코로나19 대유행에 경제활동이 줄어든 상황에서 초저금리로 시장에 많은 돈이 풀리면서 수요를 키웠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br br 건축자재 가격이 크게 오른 탓에 주택 공급이 줄어든 것도 집값 상승을 부추겼다는 지적입니다.br br 거품 낀 집값이 금융 안정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지만, 각국 정부는 쉽게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상황입니다.br br 저금리 등 경기부양책을 지속하면 통화량이 늘면서 집값이 추가 상승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경기부양책을 중단하면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br br 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 (ymkim@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08-03

Duration: 02: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