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확진자 1,823명...열흘 만에 천8백 명대 / YTN

신규 확진자 1,823명...열흘 만에 천8백 명대 / YTN

■ 진행 : 김대근 앵커 br ■ 출연 : 김경우 인제대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br br br 어제 신규 확진자가 1800명을 넘어서며 역대 세 번째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2주 더 연장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 br br 신규 확진자 수가 1823명입니다. 며칠 동안 1700명대를 유지했었는데 이제 다시 1800명대로 올라섰어요. 이 상황 어떻게 봐야 될까요? br br [김경우] br 일단 요일별 비율로 봤을 때 지난 토요일에 비해서도 300명 정도 더 증가된 수치를 보이고 있고요. 또 아마 평균 신규 확진자 내일까지 계산해 봐야 되겠지만 지난주가 한 1506명 정도였으니까 감소세는 아닌 것 같고. 오히려 약간 증가할 가능성이 있을 것 같고요. br br 여러 가지 방역지표 같은 것도 살펴봐야 되겠지만 감염 경로 불명 비율 또 방역망 내 관리 비율, 또 델타 변이 점유율 이런 지표들이 좋지 않아서 앞으로 완화세로 들어갈 요인보다는 확산세 요인이 더 많은 것으로 보이고 작년 7, 8월에도 그랬지만 보통 휴가 기간에 특히 8월 초부터 중순 사이에 신규 확진자분들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사회적으로 증가할 요인들이 조금 우려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br br br 특별히 감소세 요인이 없어 보인다, 이런 말씀으로 이해가 되는데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는 것도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현황을 보면 7월 22일에 218명이었는데 이게 계속 늘어서 8월 5일에는 369명입니다. 이것도 위험한 상황 아닌가요? br br [김경우] br 가장 우려되는 부분인데요. 저 중에서 특히 젊으신 분들, 50대 이하, 특히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분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 우려되는 점이 되겠는데요. 질병청 발표 자료에 따르면 6월 2주차하고 7월 2주차의 중증화율 그러니까 중증화율 하게 되면 위중증환자와 사망까지 다 합한 비율을 따지게 되면 40대, 50대가 1.4에서 3.33로 2.4배 증가했고 중증화율도 높아지고 또 중증화 환자 수, 방금 보여주신 것처럼 그 수 주체도 5.6배가 증가했는데요. br br 중증화율이나 이런 것들을 계산할 때 바로 계산하는 건 아니고 신규 확진자가 발생한 분들이 치료 경과를 거치면서 위중증이 생기고 또 사망이 생기고 이... (중략)br br YTN 김경우 (minna88@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

Uploaded: 2021-08-07

Duration: 18:5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