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어볼 데가 다 닫혔어요” 원격 수업이 키운 교육 격차

“물어볼 데가 다 닫혔어요” 원격 수업이 키운 교육 격차

ppbr br 코로나가 길어지면서 손톱 아래 가시처럼 마음에 걸리는 것, 바로 아이들 ‘교육’입니다.br br넉넉하지 못한 가정에선 아이들이 원격 수업 쫓아가는 것조차 벅찹니다.br br미래세대 양극화 그늘은 오늘도 짙어지고 있습니다.br br구자준 기자입니다. brbr[리포트]br초등학교 6학년인 이모 양. br br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 동생 2명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br br코로나 여파로 학교가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이후 수업을 들을 때마다 애를 먹습니다. br br[이모 양 외할머니] br"혼자 원격수업하는 걸 어려워하더라고요. 나는 그걸 (기기를) 다루지 못하고, 애가 하니까." br br지역 아동센터도 모두 문을 닫으면서 도움을 청할 데도 없습니다. br br[이모 양 외할머니] br"전에는 (지역 아동센터) 공부방에 다녔어요. 코로나로 못하니까, 다른 애들처럼 학원도 보내주고 싶고. 해주질 못하니까 항상 미안하죠, 애들한테." br br3년 전 베트남에서 온 응모 군. br br한국어가 서툴다 보니 원격수업을 따라가는 게 벅찹니다. br br[응모 군 중학교 2학년] br"학교에 있을 땐 친구들하고 선생님이 도와줬어요. 사회나 과학은 모르는 단어가 많은데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 어려워요." br br넉넉지 않은 형편에 학원에 가는 건 엄두도 못 냅니다. br br[응모 군 가족] br"제가 (구직활동으로) 시간이 없어서 많이 도와주지 못해요. 학원 보내고 싶은데 학비 비싸요." brbr한 여론조사에선 교사 10명 중 8명이 원격수업 이후 학생들 학습격차가 커졌다고 답했습니다.br br교육부는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대규모 보충수업을 대책으로 내놨지만 허점이 많다는 지적입니다. br br[한전복 초록우산어린이재단 복지사업본부장] br"기초학력수준 이하에 초점을 맞추면 중위권 아이들을 놓칠 수 있고,더 개별화된 접근 방법이 필요(합니다.)" br br코로나 여파로 여전히 전면 등교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학생들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세심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구자준입니다. brjajoonneam@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5

Uploaded: 2021-08-14

Duration: 02:2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