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안았던 해병에 예비아빠까지…‘9·11 세대’ 병사들의 비극

아기 안았던 해병에 예비아빠까지…‘9·11 세대’ 병사들의 비극

ppbr br 카불 공항 테러로 전사한 미군 장병들의 유해가 성조기에 덮혀 고국에 돌아왔습니다. br br13명 중 다섯명은 9.11 테러가 일어났던 2001년에 태어난 올해 꼭 스무살 된 젊은이들입니다. br br총이 아니라 아프가니스탄 아기를 품에 안은 생전 모습이 세계인들의 가슴을 울렸습니다. br br강은아 기자입니다.brbr[리포트]br성조기로 덮인 전사자 유해가 하나씩 수송기에서 내립니다. br br7명의 동료들이 희생자의 관을 천천히 옮기고, 대기 중이던 운구 차량에 싣습니다. br br사흘 전 아프간 카불 공항 자폭테러로 숨진 13명의 미군 유해가 고향 땅을 밟았습니다. br br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오른손을 가슴에 올린 채 침통한 모습으로 지켜봤습니다. br br[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지난 26일)] br"우리는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잊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끝까지 쫓아가서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할 것입니다." br br이들 13명 중 다섯 명이 20살. br br지난 2001년, 아프간 전쟁의 시작이었던 9·11 테러 즈음 태어난 약관의 장병들입니다. brbr워싱턴포스트는 '9·11의 아이들이 9·11로 시작된 전쟁에서 스러졌다'고 추모했습니다.br br전투복 차림으로 고아가 된 아프간 아기를 안고 있던 미 해병대 니콜 지 병장. br br"난 내 일을 사랑한다"고 SNS에 올렸던 글이 마지막 인사가 됐습니다. br br[미스티 푸오코 니콜 지 병장 언니] br"그녀가 남긴 마지막 말은 '난 여기 있는 게 좋아, 이건 정말 놀라운 일이야'였어요" br br올해 갓 스무살이 된 라일리 맥컬럼. br br제대 후 레슬링 코치를 꿈꿨던 그는 3주 후면 태어날 아이를 기다리는 예비 아빠였지만 살아선 사랑하는 가족을 만나지 못했습니다. br br미국에선 이들을 위한 추모가 이어졌습니다. br br상인들은 맥주가 가득 담긴 잔 13개를 테이블에 올려둔 사진을 공개하며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13명의 미군을 위해 br자리를 비워둔다"고 애도했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강은아입니다. br br영상편집 : 조성빈br br br 강은아 기자 euna@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0

Uploaded: 2021-08-30

Duration: 02:1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