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소비·투자 모두 감소…"회복세 주춤"

생산·소비·투자 모두 감소…"회복세 주춤"

생산·소비·투자 모두 감소…"회복세 주춤"br br [앵커]br br 지난달 산업 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뒷걸음질 쳤습니다.br br 코로나19 4차 대유행과 이로 인한 거리두기 탓인데요.br br 세 지표의 동반 하락은 석 달 만인데, 정부는 경기 회복세가 주춤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습니다.br br 이동훈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지난달 생산, 소비, 투자가 지난 5월 이후 석 달 만에 모두 감소했습니다.br br 산업 생산은 7월에 비해 0.2 줄었습니다.br br 생산은 4월과 5월 감소하다가 6월 반등했지만 7월부터 감소세가 두 달째 이어지고 있습니다br br 정부의 백신 구매에 따른 재료비 증가 등으로 공공행정이 5.2 증가했지만 제조업은 전기장비, 금속가공 분야 부진 탓에 0.4 하락하며 감소 전환했습니다.br br 특히 대면서비스업 부진이 이어지면서 숙박·음식점업이 5.2 급락한 영향으로 서비스업 생산이 0.6 줄었습니다.br br 민간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옷 같은 준내구재 판매가 늘어난 대신,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승용차 같은 내구재의 판매가 줄어 0.8 감소했습니다.br br 7월 2 증가했던 설비투자도 지난달에는 선박 등 운송장비 투자가 위축돼 5.1 줄어 한 달 만에 감소전환했습니다.br br 통계청은 "생산과 지출이 약화하면서 지난달에 이어 경기 회복세가 주춤하는 모습"이라고 평가하며 코로나19 타격과 7월 지표가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 등을 이유로 들었습니다.br br 한편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하락한 102.4로 집계됐습니다.br br 지난 7월 14개월 만에 하락 전환한 데 이어 두 달째 떨어진 겁니다.br br 이와 관련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부터 이달까지 카드 매출액 증가세가 이어지는 등 소비력이 회복하고 있다며 소상공인 손실보상 지원 등을 통해 경기 회복세를 이어갈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09-30

Duration: 02:0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