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기 어려운 물가 오름세..."저소득층 체감은 더 컸다" / YTN

잡기 어려운 물가 오름세..."저소득층 체감은 더 컸다" / YTN

정부, 올해 물가 예측 ’2 초반’으로 올려 잡아 br ’유동성 최대’ 속 경기 회복+소비 확대에 물가↑br br br 국제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세계적인 공급망 병목현상까지 이어지면서 앞으로도 물가 잡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br br 이런 가운데 코로나 사태 이후 체감 물가는 소득이 낮을수록 더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권남기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저녁 먹거리 준비에 장을 보는 손길이 분주한 평일 낮의 남대문시장. br br 손에 든 물건은 각자 달라도 물가 얘기에 나오는 반응은 한결같습니다. br br [강재원 경기 파주시 문산읍 : 콩나물도 1천 원어치도 많이 팔았는데, 절대 1천 원짜리는 없어요. 다 2천 원이고. 물가가 두 배 정도 뛴 것 같은 그런 느낌을 받아요. 남편 월급은 오르진 않는데….] br br [강연실 서울 이촌동 : 고기나 그렇게 비싼 걸 먹을 때는 두 번 먹을 걸 한 번으로 줄이기도 하고, 채소 위주로 많이 식단을 짜기도 하고, 그렇게 좀 생각을 하면서 먹게 되네요.] br br 소비자 물가가 심상치 않습니다. br br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안정될 거라던 애초 정부 전망과 달리, br br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지난 6월) : 1.8로 제시를 했습니다만, 물가 상승률이 통제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정부로서는 총력을….] br br 물가는 계속 오르기만 했고 결국, 정부도 올해 예측치를 2를 넘는 거로 올려 잡았습니다. br br 문제는 앞으로도 물가를 끌어 올릴 수 있는 요인들이 많다는 겁니다. br br 국제유가는 배럴당 80달러를 웃돌고 있고,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기업 부담은 고스란히 물건값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br br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지난달) : 워낙 공급 측 요인이 강해서. 저희의 금리 대응이 물가에 영향을 줍니다만, 당장 가시적인 어떤….] br br 여기에 시중에 풀린 돈이 3천500조 원에 육박하는 등 사상 최대인 상태에서, 일상회복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에 더해 그동안 미뤘던 소비까지 늘면 물가는 더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br br "더 큰 문제는 소득이 낮을수록 이런 물가 상승세가 더욱 무겁게 느껴진다는 데 있습니다." br br 코로나 사태 이후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이 큰 식료품 등의 가격이 더 많이 오르면서, 저소득층의 체감 물가가 고소득층보다 높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br br [이태열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물가 상승 압력이 누적되는 한, 필수재에 대한 소비 비중이 높... (중략)br br YTN 권남기 (kwonnk09@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1-11-02

Duration: 02:3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