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 지원론에 정부 "피해층 집중…충분한 토론을"

전국민 지원론에 정부 "피해층 집중…충분한 토론을"

전국민 지원론에 정부 "피해층 집중…충분한 토론을"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최근 다시 불붙은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논의에 대해 정부가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습니다.br br 세금을 써야 하는 일인만큼 심도 있는 토론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는데요.br br 604조 원을 넘어선 내년 예산안이 긴축재정이란 지적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br br 조성미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내년도 정부 예산을 심의하는 자리에서 최근 다시 불거진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문제도 올라왔습니다.br br 재정 여건을 강조하며 난색을 표해 '당정 갈등' 양상으로도 비춰졌던 김부겸 국무총리는 여전히 전 국민 지급론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br br "이 문제는 여기서 결론을 내리지 말고 국회에서 장시간 토론해서… 재정이란 게 정말 귀한 것 아닙니까? 작년 전 국민 보편 지급 이후에 너무 많은 소모를 치렀습니다."br br 604조 4,000억 원에 이르는 내년 나라살림이 정부가 밝힌 바대로 확장재정이 아닌 긴축재정이란 지적엔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적극 반박에 나섰습니다.br br "내년 예산이 긴축예산이라고 말씀하셨는데 긴축 여부를 판단하는 세 가지 척도에 의하면 내년도는 명백히 확장예산입니다."br br 김 총리에 이어 홍 부총리 역시 전 국민 지원금보다는 선별 지원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br br "손실보상 지급이 차질없이 신속하게 지급되는 일단 우선이다. 전 국민에게 드리는 방식보다는 맞춤형으로 필요한 계층과 대상에 대해 집중적으로 드리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br br 한편, 요소수 수급 난항에 대해 정부는 중국 외에 중동 등 몇몇 국가로부터 수입을 다변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11-05

Duration: 02: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