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협정 당사자 中, 종전선언 '반색'...배경은? / YTN

정전협정 당사자 中, 종전선언 '반색'...배경은? / YTN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종전선언에 대해 미국이나 북한보다 오히려 중국이 가장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br br 중국이 한반도 평화의 건설적 역할을 자청하고 나선 배경과 속내를 홍주예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9월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 br br 한국전쟁 당사국들이 모여 전쟁을 끝내고 평화를 시작하자며 종전선언을 제안했습니다. br br 선언의 주체도 구체적으로 밝혔습니다. br br [문재인 대통령 :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가 모여 한반도에서의 전쟁이 종료되었음을 함께 선언하길 제안합니다.] br br 가장 먼저 입장을 내놓은 건 중국입니다. br br 만 하루도 안 돼, 한반도 문제의 중요한 한 나라이자 정전 협정을 체결한 당사자로서 역할을 계속하겠다고 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br br 중국의 이처럼 발 빠른 반응은 미중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한반도 상황의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의도가 포함된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때문에 종전선언 추진 과정에서도 중국의 개입이 예상됩니다. br br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베이징올림픽의 성공이 당장의 목표인 것이고 이런 상황에서 보면 중국도 충분히 종전선언에 대해서 움직일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도 그렇게 봤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br br 그러나 중국이 굳이 4자 종전선언을 고집하기보다는 실용적 접근을 할 거라는 관측도 있습니다. br br 군사적 충돌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미중 갈등 속에서 종전선언이 채택되면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도 이를 주한미군 철수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br br [이상만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중국센터장 : 종전선언에 참여해서 넷이 하면 좋겠지만, 굳이 거기에 목매지 않는다는 뜻이거든요. 왜냐하면 일단 마중물은 만들어 놓고 뒤에 가서 실리를 챙기겠다는 얘기거든요.] br br 따라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평화협정이 추진될 경우에는 중국이 더 적극적으로 나설 거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YTN 홍주예입니다.br br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1-11-07

Duration: 02:1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