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되나 했는데 ‘金소수 대란’”…거리로 나온 전세버스 기사들

“회복되나 했는데 ‘金소수 대란’”…거리로 나온 전세버스 기사들

ppbr br 생계가 차량 운행에 달려있는 전세버스 기사들도 급하기는 매한가지입니다. br br거리로 몰려나와 정부의 늑장 대응을 비판했습니다. br br김승희 기자입니다.brbr[리포트]br거리로 나온 전세버스 기사들. br br손팻말에는 천정부지로 치솟은 요소수 가격을 빗대 '금소수'라는 단어가 적혀 있습니다. br br[허이재 전국전세버스노동조합 위원장] br"이미 예견된 일이었습니다.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가 지금의 요소수 대란을 만들었습니다." br br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여행객이 늘고 매출도 회복할 걸로 기대했지만 요소수 대란이 이런 기대를 무너뜨렸다는 겁니다. br br[허이재 전국전세버스노동조합 위원장] br"이제 겨우 실낱같은 기대감을 갖기 시작했는데, 요소수 대란이 터져 전세버스 기사들은 두 번 죽게 생겼습니다." br br정부가 중국산 요소 도입 계획을 내놨지만 불신은 여전합니다. br br[함형규 전국전세버스노동조합 부위원장] br"저희는 요소수 수입해서 들어온다는 거 절대 못 믿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요소수 수입돼서 저희가 힘든 시기를 벗어날 수 있게끔 해주시고." brbr대구 교통단체 연합회는 배기가스 저감장치 즉 SCR의 임시 해제를 요구하는 건의안을 환경부에 제출했습니다. br br요소수가 없더라도 차량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시적으로 허용해달라는 겁니다. br br[안성관 대구전세버스운송사업자조합 이사장] br"탄소 중립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요소수가 없어서 준전시 상황 아닙니까. 수급 안정 시까지 SCR 풀어놓고." brbr앞서 환경부는 SCR 조작을 일시적으라도 허용할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 brbr영상취재: 김건영 강철규 br영상편집: 이태희br br br 김승희 기자 sooni@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2

Uploaded: 2021-11-10

Duration: 01:4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