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리딩방 피해 급증…환급 후 위약금도 문제

주식리딩방 피해 급증…환급 후 위약금도 문제

주식리딩방 피해 급증…환급 후 위약금도 문제br br [앵커]br br 주식 투자하는 분들이라면, '종목 추천해줄 테니 1년간 서비스를 이용해보라'는 식의 전화, 문자메시지 받는 경우 적지 않죠, 이른바 주식리딩방으로 불리는 이 서비스의 피해 사례가 최근 들어 속출하고 있습니다.br br 박상률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지난 9월 김현철씨는 주식 투자와 관련해 전화를 한 통 받습니다.br br [김현철(가명) 주식리딩방 이용자] "'우리 회원이 1,500명 정도 된다' 1,500명이 같은 종목에 동시에 매수를 들어가면 올라갈 거 아닙니까' 자기 회원이 되어달라."br br 솔깃한 김 씨는 주식 정보를 제공받기로 1년 약정을 하고 돈을 지불했습니다.br br 일명 '주식리딩방'의 전형적인 형태입니다.br br 김 씨는 신용카드 번호를 불러줬고, 수백만 원의 돈이 빠져나갔습니다.br br [김현철(가명) 주식리딩방 이용자] "카드 번호 불러 달라해서 다 불러주고 A 은행의 카드를 주니까 '한도가 너무 적다', 그래서 다른 은행 것도 줬어요. 그랬더니 양쪽 은행에서 483만 원 결제를…"br br 약속했던 수익이 나지 않아 환불 요청을 해도 돌려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운 좋게 환급을 받았더라도 문제는 여전합니다.br br 위약금이 지나치게 많거나, 위약금으로 인한 소송 당사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br br [A 씨 주식리딩방 이용자] "자기들이 그러면 법원에서 만나자고 하더라고요. 계약 위반에 따른 돈이죠. (위약금이) 거의 뭐 1천만 원 이상 되더라고요. 공정거래법상 택도 없는 (내용을) 계약서에 명기를…"br br [최은희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 "소비자들이 환급을 요구하는 어떠한 행위가 오히려 손해가 될 수 있도록 영업행위들을 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규제하기가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고요."br br 실제로 환급 거부 또는 지연으로 인한 피해구제 신청이 73, 위약금 과다 청구로 인한 신청이 21에 달했습니다.br br 연령대별로는 50대가 가장 많았는데, 70대 이상 피해 사례가 전년보다 4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 br 서울시와 한국소비자원은 연말까지 '주식리딩방'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할 계획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 (srpark@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2

Uploaded: 2021-11-11

Duration: 02:2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