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심 높이고 오염 줄이고...제주도 친환경 농업 열풍 / YTN

땅심 높이고 오염 줄이고...제주도 친환경 농업 열풍 / YTN

제주도에 친환경 농업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br br 화학비료와 농약을 줄여 땅과 지하수, 결국에는 사람을 살리기 위한 움직임인데요. br br 미생물을 활용한 농법을 도입하는 농민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br br 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레드향 농사를 짓는 김승림 씨는 3년 전부터 농약과 비료를 쓰는 관행 농법을 과감하게 버렸습니다. br br 그러자 고질적인 병폐가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br br [김승림 레드향 재배 농민 : 순이 나오는 게 아주 튼실하게 나와서 '아, 이건 괜찮구나' 생각해서 본격적으로 GCM 미생물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그 후에는 제일 문제점이 되는 (과일이 갈라지는)열과와 (한 해 걸러서 열매가 적게 열리는) 해거리가 없어졌습니다.] br br 양배추를 재배하는 김명관 씨도 미생물을 뿌리면서 골칫거리가 해소됐습니다. br br [김명관 양배추 재배 농민 : 작년에 뿌리혹병 때문에 고생이 많았습니다. 올해 같은 경우는 미생물을 배양해 이렇게 엽면 살포했더니 잔뿌리도 많고 싱싱하게 잘 자라고 있습니다.] br br 친환경 농법의 주인공은 젤라틴과 키틴 분해 미생물입니다. br br [현해남 제주대학교 명예교수 : 자기 스스로 배양해서 충분한 양을 줄 수 있어야 하고 또 한가지는 작물이 자랄 때 가장 필요한 게 양분이에요.] br br 입소문이 나면서 제주도에서 미생물 농법을 도입한 사례는 천여 농가로 늘었습니다. br br 친환경 농법은 청정 지역 제주도를 지키기 위한 탄소 중립 실현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br br [김덕문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인단체협의회 회장 : 친환경으로 미생물 농법에 의해 다수확과 모든 미생물을 우리 농민에게 보급해 제주도의 비료와 농약을 절감하는 데 실증을 충분히 이행했습니다.] br br [문대림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이사장 : 제주의 청정 자연환경, 제주의 지하수, 제주의 토양 생태계 회복을 위해 이제 미생물 농법과 생물 농약 그 길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습니다.] br br 미래 지속 가능한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농법 재배 면적은 갈수록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br br YTN 김범환입니다. br br br br br YTN 김범환 (kimb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br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br 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1-11-11

Duration: 02:2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