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가 금치"...배춧값 폭등에 김장철 울상 / YTN

"김치가 금치"...배춧값 폭등에 김장철 울상 / YTN

김장철을 맞아 요즘 배추 소비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br br 그런데 가격이 지난해보다 크게 올라서 사는 사람이나 파는 사람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br br 소비자 물가 관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br br 이강진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김장 재료를 사는 소비자들의 손길이 분주합니다. br br 해마다 100포기 정도를 담는 이 가족의 김장비용은 지난해 90만 원 정도였던 게 올해는 120만 원을 훌쩍 넘겼습니다. br br [이명주·강병숙·양주리 경기도 고양신 행신동 : 배추가 비싸니까 금치라 그랬지 금치. 모든 물가가 다 비싸요. 싼 게 없어요. 내가 이 나이 먹도록 이렇게 비싼 건 처음이네.] br br 배추가 특히 많이 올랐습니다. br br 전통시장에서 판매되는 가격은 지난해 16포기 48,000원에서 올해 82,000원으로 70나 넘게 뛰었습니다. br br 대형마트는 37,000원에서 5만 원으로 34 올랐습니다. br br 이러다보니 배추를 포기하고 가격이 안정된 무나 알타리를 찾는 소비자가 많아졌고, 할인행사에는 새벽부터 긴 줄이 늘어서기도 합니다. br br [신현태 농협유통 홍보실장 : 미리 구매하셔서 김장철에는 수령만 해가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절임배추 생산량은 한계가 있다 보니까 매장 판매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br br 배추 가격이 유난히 급등한 건 올가을 날씨가 좋지 않아 무름병이 번졌고, 인건비와 유가 인상이 운송비에도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br br 그래서 아예 김장을 포기한다는 사람들이 늘면서 판매량도 덩달아 줄고 있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울상을 짓는 상황입니다. br br [홍남기 경제부총리(17일) : 일반 가정에서 김장할 때 부담은 되겠지만 그래도 좀…. (정부에서도) 가격을 낮춰볼 텐데 가격을 너무 낮추면 생산하는 농민들 생각하면 눈물도 나고….] br br 생산자물가가 13년 만에 최대폭으로 뛰면서 소비자물가 급등도 불가피한 가운데 뚜렷한 물가 하락 요인이 없다는 점이 정부의 고민을 깊게 만들고 있습니다. br br YTN 이강진입니다.br br YTN 이강진 (jinlee@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1-11-20

Duration: 02:0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