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 기준금리 0.75%→1%로 인상..."막 내린 제로금리 시대" / YTN

[더뉴스] 기준금리 0.75%→1%로 인상..."막 내린 제로금리 시대" / YTN

■ 진행 : 박석원 앵커 br ■ 출연 : 정철진 경제평론가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br br br 1년 8개월 만에 막을 내린 제로금리 시대.시장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지 정철진 경제평론가와 짚어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사실상 어느 정도 기정사실화됐던 내용 아닙니까? br br [정철진] br 그렇습니다. 아마 계속해서 연초부터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가 금리인상에 대한 부분을 언급을 했었고요. 지난 8월에 또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서 연내에 또 한 번 정도 더 올릴 가능성들도 다 시사했습니다. 그래서 10월 아니면 11월이었다는 쪽이었었고 10월에 안 올렸기 때문에 거의 11월은 시장이 예측하지 않았나 이렇게 보여지고 있는데요. br br 그동안의 기준금리 추이를 보면 우리가 작년에 코로나19가 급격하게 터지면서 정말 내수 경기가 쭈그러들지 않았었습니까? 그때 전격적으로 두 번의 금리인하를 하게 됩니다. 0.75로 해서 7월에 했고요. br br 그다음에 5월에 또 한번 내리면서 기준금리가 연 0.5까지 떨어졌었는데 이후 다시 한국 경제도 돌아가고 코로나19도 또 다른 국면으로 가게 되면서 8월 그다음에 이달 11월에 오르게 되면서 이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연 1, 제로금리 시대가 거의 한 1년 6개월 만에 막을 내렸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br br br 코로나19 국면이 새로운 국면을 맞으면서 인상이 됐다는 말씀도 해 주셨는데 다른 배경들도 여러 가지로 작용했을 것 같아요. br br [정철진] br 그렇죠. 금리인상,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역시 첫 번째는 물가입니다. 중앙은행의 책무이기도 하고요. 인플레이션 파이터라고도 하죠. 최근 물가를 보면 이건 우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이기도 한데 거침이 없습니다. 현재 우리의 타깃, 목표 물가상승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연 2인데 표를 볼까요? 지난 2021년부터 2.3, 2.6 계속해서 5개월 넘게 2 이상을 치솟다가 바로 10월이었습니다. 이제 3.2까지 치솟으면서 더 이상 물가 상승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다라든가 단기적이라든가 할 정도가 아닌 거의 추세적인 물가상승 국면이 나오고 있어서 역시 금리인상이 뒤따를 수밖에 없었고요. br br 두 번째는 가계부채입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1840조, 1850조에 육박하는데 우리의 실질 GDP가 약 한 183...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1-11-25

Duration: 14:2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