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이 띄운 '개 식용 금지'...사회적 합의 가능할까? / YTN

문 대통령이 띄운 '개 식용 금지'...사회적 합의 가능할까? / YTN

우리 사회에서 오랜 찬반 논란 가운데 하나가 '개고기 식용'을 금지 여부입니다. br br 정부가 민관합동 사회적 기구를 만들어 합의점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br br 공론화 기간인 5개월 안에 결론을 낼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br br 백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문재인 대통령이 우리 사회의 오랜 식문화 논쟁을 화두로 꺼내 든 건 두 달 전입니다. br br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 (지난 9월 27일) : (문 대통령은) '이제는 개 식용 금지를 신중하게 검토할 때가 되지 않았는가'라고 말했습니다.] br br 우리나라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 집계 기준 638만 가구, 천5백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br br 이른바 '동물권'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 만큼 더 이상 관련 논의를 미룰 수 없다는 게 대통령의 판단으로 보입니다. br br 여야 유력 대선주자들도 개 식용 문제 공론화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찬반 여론도 다시 들끓기 시작했습니다. br br 정부가 최근 개 식용 종식의 절차와 방법을 논의하기 위한 기구 구성에 착수한 배경입니다. br br [김부겸 국무총리 (지난 25일) : 민간이 중심이 되는 민관합동 논의기구를 구성해 사회적 합의안을 도출하는 한편,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관련 제도도 함께 개선해 나가고자 합니다.] br br 논의기구는 관련 단체와 전문가, NGO 등이 참여하며 내년 4월까지 5개월 동안 생산과 유통 분야로 나눠 의견을 수렴합니다. br br 정부는 다만 이 기간 개고기 식용 금지를 입법화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기는 쉽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br br 개 식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법적 규제를 놓고는 찬반이 다시 갈리기 때문입니다. br br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개고기 식용을 법으로 금지하는 데 반대한다는 의견이 찬성보다 10p나 높았는데, 개인의 식습관까지 법으로 규제하는 데 대한 부정적 인식이 큰 것으로 해석됩니다. br br 정부는 일단 사회적 기구를 통해 사각지대에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져 온 개 사육과 도축, 유통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대국민 인식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br br 또 시간이 걸리더라도 유통 상인이나 음식점 등 관련 업계를 설득하며 '개 식용 종식'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나갈 계획입니다. br br 개고기 식용 찬반논란은 지난 1988년 서울올림픽 때부터 30년 넘게 이어진 해묵은 과제입니다. br br 사회적 합의를 이끌기... (중략)br br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1-11-27

Duration: 02:5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