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재감염 위험 3배 높아…남아공에선 이미 우세종

오미크론, 재감염 위험 3배 높아…남아공에선 이미 우세종

ppbr br 오미크론은 완치됐다 다시 걸리는 재감염 위험이 특히 높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습니다. br br오미크론이 우세종인 남아공에서도 재감염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br br이어서 박수유 기자가 보도합니다.brbr[리포트]br신규 확진자가 매일 두 배씩 급증하더니 결국 1만 명을 다시 넘어선 남아공. brbr 오미크론 변이는 지난달 분석한 샘플 가운데 4분의 3을 차지할 정도로 우세종이 됐습니다. br br 접종률은 24에 그치는 가운데 최근 확진된 279만여 명 중 재감염으로 의심되는 환자는 3만 5천여 명에 달합니다. br br남아공에서는 한차례 이상 감염 뒤 면역이 생성된 완치자의 재감염 사례가 속출한 겁니다. brbr실제 베타와 델타가 대유행했던 기간과 비교해 오미크론이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달 재감염 추정 위험비율은 3배 정도 높았습니다. brbr[데이비드 마후라 남아공 가우텡 주지사] br"우리는 임상팀으로부터 받은 보고에 대해 굉장히 걱정하고 있습니다." br br27개 회원국 중 14개국에서 오미크론이 확인된 EU에서는 몇 달 안에 감염 절반 이상이 오미크론이 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습니다. br br[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br"가능하실 때 부스터샷을 맞으시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현재 40대 이상은 접종 중이고요. 저도 방금 맞았습니다." br br미국에선 5만명 이상 모인 뉴욕의 대규모 행사장을 다녀온 미네소타 주민이 오미크론 확진판정을 받아 지역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졌습니다. br br[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어제)] br"오늘 뉴욕주에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사례 다섯 건을 확인했습니다. 더 많은 사례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겠지만 우리는 무방비상태가 아닙니다." br br바이든 대통령은 대규모 봉쇄나 입국 금지 대신 부스터샷 접종을 최우선 순위에 놓고 방역 강화에 초점을 두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 brbr영상편집: 강민br br br 박수유 기자 aporia@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21-12-03

Duration: 02:0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