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접종은 필수" 강조하는데…접종 참여 지지부진

"추가 접종은 필수" 강조하는데…접종 참여 지지부진

"추가 접종은 필수" 강조하는데…접종 참여 지지부진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정부나 일부 의료 전문가들이 최근 '추가접종' 대신 '3차 접종'이란 말을 쓰고 있습니다.br br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다는 의미를 담은 건데요.br br 하지만 예약자까지 포함해도 참여율이 매우 지지부진합니다.br br 왜 그런지 신새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br br [기자]br br 현재까지 추가 접종을 마친 사람은 395만여 명.br br 인구 대비 7.7, 18세 이상만 따져도 9 선입니다.br br 60세 이상 접종 완료자 중 약 3분의 1만 접종을 받거나 예약한 실정인데, 특히, 요양시설 입소자가 아닌 고령층의 추가 접종률은 20 정도에 그칩니다.br br "예방접종 지표를 볼 때 60세 이상 연령의 3차 접종률이 전전주의 12.2에서 전주 18.1로 증가하였지만, 아직은 낮은 상황입니다."br br 문제는 돌파감염입니다br br 10월 셋째 주 37.9였던 2차 접종자의 돌파감염 비율은 수직 상승해 지난주엔 70에 달했습니다.br br 특히 60세 이상에선 돌파감염에 의한 위중증자 비율이 57까지 높아졌습니다.br br "추가 접종으로 특히 고령층ㆍ고위험군 기저질환이 있으신 분들이 빨리 맞음으로써 확진자 수와 관계없이 위중증 환자를 줄이는 것이 필요한 시기거든요."br br 하지만 1, 2차 접종 후 고열, 근육통은 물론, 심각한 부작용과 이에 대한 방역당국의 대응을 겪거나 보면서 추가 접종을 망설이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br br 또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백신 개발을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도 있습니다.br br "주변에서도 그럼 1월까지 기다려서 오미크론용 백신을 맞아야 되는 게 아니냐고 저한테 질문한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br br 부작용에 대한 치료 대응 보장이나 인센티브 없이 무조건 맞으라는 당부로는 기본접종과 같은 빠른 속도를 기대하기 쉽지 않은 겁니다.br br 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 (romi@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12-06

Duration: 02: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