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10주기 하루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채택

김정일 사망 10주기 하루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채택

김정일 사망 10주기 하루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채택br br [앵커]br br 유엔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10주기 하루전 북한 인권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br br 17년 연속으로, 결의안에는 유엔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안보리에 북한에 추가 제재를 검토하라는 권고안도 담겼습니다.br br 북한은 결의안에 강하게 반발했습니다.br br 한상용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10주기 하루 전 열린 유엔 총회.br br 압둘라 샤히드 유엔총회 의장이 의사봉을 두드리며 북한 인권결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br br 2005년 이후 17년 연속 북한의 인권 침해를 규탄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인권결의안이 채택된 순간입니다.br br 유엔 총회는 표결을 거치지 않는 전원 동의 방식, 즉 컨센서스로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br br 컨센서스 채택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이자 전체로는 8번째입니다.br br 우리나라는 3년 연속 공동제안국 명단에선 빠졌지만 컨센서스에는 동참했습니다.br br 결의안은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며 그 사례로 고문과 자의적 구금, 성폭력, 정치범 수용소, 송환된 탈북자 처우, 코로나19로 더 악화한 권리 등을 열거했습니다.br br 또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형사재판소 회부와 "인권침해에 가장 책임 있는 것으로 보이는 사람들"의 추가 제재를 검토하라고 유엔 안보리에 권고했습니다.br br 아울러 북한측에 백신을 적시에 공급, 배포할 수 있도록 협력을 촉구하는 한편 미송환 전쟁 포로와 그 후손들의 인권침해 의혹에 우려도 표명했습니다.br br 이에 북한은 "용납할 수 없는 정략적 도발"이라며 "적대 세력의 이중잣대"라고 즉각 반발했습니다.br br 한편, 미 국무부는 같은 날 '2020년도 국가별 테러보고서'를 내놓으면서 "북한이 과거 국제 테러 행위를 지원하고도 이를 해결할 조처를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br br 현재 국무부의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된 국가는 북한과 이란, 시리아, 쿠바 등 4개국입니다.br br 연합뉴스 한상용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1-12-17

Duration: 02:1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