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권 논란' 도청 돌봄시설 개방…돌봄정책 허술 단면

'특권 논란' 도청 돌봄시설 개방…돌봄정책 허술 단면

'특권 논란' 도청 돌봄시설 개방…돌봄정책 허술 단면br br [앵커]br br 강원도가 세금을 들여 도청 직원 자녀를 위한 돌봄 시설을 만들었다는 소식 저희가 보도해 드린 적이 있는데요.br br 공직사회 특권이란 비난에 강원도가 내년부터 시설을 개방하기로 했습니다.br br 여론에 떠밀려 개방한터라 지역 내 돌봄 공백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br br 이상현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지난 4월 강원도 춘천에 문을 연 초등학교 저학년 돌봄 시설, 범이곰이 돌봄센터입니다.br br 건축비 11억 원과 연간 4억 원에 달하는 운영비 대부분이 세금으로 충당됐는데 도청 직원의 자녀만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br br 이용률도 30로 매우 저조했지만, 강원도는 직원 복지라는 이유로 이를 개방하지 않았습니다.br br 하지만 이를 두고 지역사회와 지역 정치권에서 특혜라는 비난이 잇따르자 강원도가 내년부터 시설을 민간에 개방하기로 했습니다.br br 우선순위가 있지만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춘천시민이라면 누구나 월 10만 원에 보육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 겁니다.br br "공공기관들에서 아이를 돌보는 일들을 좀 해줘야 됩니다. 그래서 점차 점차 확대를 해 나가고 있는 중입니다."br br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초등학생 돌봄 공백 해결을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br br 시설을 조성하는 것보다는 각 학교가 부모의 퇴근 때까지 돌봄을 전담해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겁니다.br br "정말 사각지대에 있는 아이들이, 필요한 아이들이 있단 말이에요. 그 아이들을 본다면 이런 정책적인 것, 책상에 앉아서 토론해야 이런 것들이 근본적으로 해결될 거라 봅니다."br br 교육청과 지자체가 예산을 반씩 부담하고 기존 돌봄 교사의 근무시간을 2~3시간 정도 늘리는 것도 하나의 방안으로 떠오릅니다.br br 이와 함께 돌봄 교실을 누가 주도적으로 맡느냐를 두고 지자체와 교육 당국 간 책임 떠 넘기기도 차제에 사라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 (idealtype@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12-18

Duration: 01:5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