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찰 논란에 수사까지 답보…공수처 '가시밭길'

통신사찰 논란에 수사까지 답보…공수처 '가시밭길'

통신사찰 논란에 수사까지 답보…공수처 '가시밭길'br br [앵커]br br 공수처가 이른바 무차별적인 통신자료 조회에 대해 유감의 뜻을 그제(24일) 처음 밝혔죠.br br 하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인데요. 수사 역량에 대한 의문도 적지 않습니다.br br 보도에 곽준영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언론인과 정치인 등 대상을 가리지 않았던 통신자료 조회 논란에 공수처가 고개를 숙이기까진 2주가량의 시간이 걸렸습니다.br br 공수처는 여론의 질타를 받게 돼 유감스럽고 기본권 침해 소지에 대해 철저히 점검하겠다며 일련의 사태에 대해 처음 사과했습니다.br br 다만 '적법한 수사 활동'이란 입장은 고수했습니다.br br 각계에서 이어지는 거센 비판에 일단은 공수처가 한 발짝 물러난 모양새지만 '사찰 논란'은 당분간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br br 특히, 김기현 원내대표 등 소속 의원 26명의 통신자료 조회 사실을 확인한 국민의힘이 대대적인 공세를 준비하고 있습니다.br br 현재 소속 의원 전원을 전수조사 중으로 통신 조회 규모가 더 늘어나면 규탄의 목소리 역시 한층 더 강경해질 수 있습니다.br br "찔러보기식 무차별한 통신 조회였음을 스스로 자인하는 셈이고, 공수처의 무능과 무지를 드러낸 것입니다."br br 공수처의 주요 사건도 여전히 답보 상태입니다.br br 우선, 3개월 넘게 대부분의 수사 인력을 투입한 '고발사주' 의혹은 손준성 검사 두 번째 구속영장 기각 후 별다른 움직임이 없습니다.br br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피의자인 판사사찰 의혹과 한명숙 전 국무총리 모해위증교사 수사방해 의혹 사건도 별 진전은 없습니다.br br 무차별적 통신 조회 파문에 이어 도마 위에 오른 수사 역량까지 공수처를 둘러싼 비판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곽준영입니다. (kwakka@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1-12-25

Duration: 01:5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