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 백신, 오미크론 전파력 막기 힘들어" 美 충격 연구 결과 / YTN

"현존 백신, 오미크론 전파력 막기 힘들어" 美 충격 연구 결과 / YTN

기존 백신으로는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의 전파력을 막기 힘들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발표됐습니다. br br 코로나 바이러스가 어떻게 진화할지를 예측해 이에 맞는 새로운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br br 강성옥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미국 명문 사립대학인 컬럼비아대 의대의 데이비드 호 의학 교수팀이 오미크론 관련 연구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했습니다. br br 연구팀은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기존 백신 항체의 중화력 수준을 확인했습니다. br br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이자와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드존슨 등 4종의 백신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br br 결과는 놀랍게도 부정적이었습니다. br br 2차 접종까지 마친 사람의 경우에도 오미크론을 중화하는 항체의 효능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된 것입니다. br br 변이 출현 이전의 야생형 바이러스를 중화하는 효능과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눈에 띠게 나타났습니다. br br 코로나19 회복 환자에게서 분리한 항체는 백신 항체보다 오미크론 중화 능력이 더욱 떨어졌습니다. br br 특히 백신 부스터샷을 맞았을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br br 화이자와 모더나사의 mRNA 방식의 백신 부스터샷은 오미크론에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중화력이 오미크론에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br br 호 교수는 "3차 부스터 샷을 맞더라도 얼마간 면역이 강해지겠지만 오미크론을 방어하기엔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br br 따라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떻게 진화할지를 예측해 이에 맞는 백신과 치료제를 시급히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br br ytn 강성옥입니다.br br YTN 강성옥 (kangsong@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1-12-25

Duration: 02:0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