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유족·시민단체 "文, 촛불 배반"...계속되는 후폭풍 / YTN

세월호 유족·시민단체 "文, 촛불 배반"...계속되는 후폭풍 / YTN

박근혜 전 대통령 특별사면을 둘러싼 후폭풍이 주말을 넘어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세월호 유족들을 비롯해 촛불 시위에 나섰던 시민 사회 단체를 중심으로 거친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냈습니다. br br 김대겸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2014년 4월 16일. br br 304명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 br br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건, 첫 보고가 이뤄진 오전 10시로부터 7시간이 지난 오후 5시 15분이었습니다. br br 당시 재난 콘트롤 타워의 부재와 초기 대응 실패의 책임자를 규명하려는 노력은 국정 농단 사건이 드러나게 된 하나의 계기이자 진실을 밝히려는 촛불 시민의 원동력이 됐습니다. br br 당시의 엄동설한과 같은 추위 속, 세월호 유족들이 또다시 손팻말을 들고 청와대 앞을 찾았습니다. br br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특별 사면 결정을 비판하기 위해서입니다. br br 헌정 질서 파괴와 국정 농단을 자행하고도 반성조차 없는 이를 사면한 건 민주주의에 대한 후퇴이자 시대 정신의 파괴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br br [강지은 세월호 참사 유족 : 일말의 사과와 반성조차 하지 않은 자를 '국민 대화합'을 이유로 사면한 것은 민주주의의 후퇴이며 시대 정신의 파괴다.] br br 사면 이유를 '국민 대화합'이라고 내세웠지만, 정작 국민의 의견도 듣지 않은 채 사면을 진행한 건 국민이 부여한 사면권을 남용한 거라는 비판도 이어졌습니다. br br [김명임 세월호 참사 유족 : 촛불 혁명을 통해 대통령의 권좌에서 쫓겨나고 처벌받은 자를 국민의 의견도 묻지 않은 채 진행한 사면은 국민이 부여한 사면권의 남용이다.] br br 민주노총과 등 천여 개의 시민사회단체도 국민 의견을 듣는 절차 없이 사면이 이뤄졌다며 이번 사면을 '촛불에 대한 배반'으로 규정했습니다. br br [박석운 한국진보연대 공동대표 : (탄핵이)누구 힘으로, 어떻게 된 겁니까? 그 엄동설한에 눈보라 치는 겨울 촛불 광장에서 6개월간에 걸친 1,700만 촛불 시민들의 절절한 의지가 모여서….] br br 반면 보수단체들은 서울 도심 곳곳에서 특별사면 환영 집회를 잇따라 개최한 가운데 시민들의 반응도 다양하게 엇갈렸습니다. br br 최근 여론 조사에서는 이번 특별 사면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부정적 평가보다 더 높게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br br 촛불 시위로 탄핵을 주도했던 현 정부 핵심 지지층이 거세게 반발하는 가운데 대선 국면의 다양한 ... (중략)br br YTN 김대겸 (kimdk1028@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1-12-27

Duration: 02:4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