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 (1월 6일) / YTN

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 (1월 6일) / YTN

[김기남 접종기획반장] br 3차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고령층의 확진자는 줄고 있습니다. 전체 확진자 중 60세 이상의 비중이 12월 1주 35.8에서 12월 5주 21로 감소하였고 오늘 기준으로는 15.6로 감소하였습니다. br br 60대 이상 확진자 수도 12월 1주 1만 1000명대에서 12월 5주는 6000명대로 크게 줄었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0세 이상 2차 접종까지 완료하신 분과 3차 접종까지 완료하신 분들 간에 예방접종의 효과를 분석하였습니다. br br 그 결과 3차 접종을 할 경우 2차 접종 시에 비해 감염 위험은 82.8, 위중증 위험은 96.9, 사망 위험은 99.1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또한 확진자 중 코로나19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 진행 위험을 분석한 결과 3차 접종 후에는 확진이 되더라도 미접종 상태에서 확진 시보다 중증, 사망으로 진행할 위험이 93.6 낮게 나타났습니다. br br 미접종군은 확진 시 2차 접종 후 확진자보다도 중증 및 사망 위험은 5배가 높았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3차 접종을 할 경우 코로나19 감염 예방의 효과가 크고 돌파감염 시에도 중증, 사망 위험을 크게 줄여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r br 1월 말까지는 전체 인구의 약 75인 3800만 명이 3차 접종 대상자가 됩니다. 1월 중 새롭게 접종 간격 3개월이 도래하는 분은 약 1200만 명으로 대부분 지난 10월까지 2차 접종을 받은 50대 그리고 40대 이하의 연령층에 해당이 됩니다. br br 청장년층은 고령층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코로나로 인한 중증이나 사망 위험이 낮지만 사회활동이 가장 활발한 계층이기 때문에 감염에 노출되거나 감염 시 전파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될 경우 단기간에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고 이는 고위험군의 감염과 사회 전체의 중증 위험도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br br 18~59세까지 연령층의 경우 2차 접종 후에 3개월이 지났으면 면역효과를 높이기 위해 빠르게 3차 접종이 필요합니다. 3차 접종 대상은 사전예약 누리집에서 예약하시고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접종해 주시기 바랍니다. br br 잔여백신은 당일 예약 및 접종도 가능합니다. 추진단은 보다 신속하게 3차 접종을 실시하기 위해서 부속의원이 있는 사업장의 경우 1, 2차 접종 때와 같이 3차 접종도 사업장 내 자체 접종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br br 수요 조사를 통해서 30여 개 사업장이 자체 접종을 희망하...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2-01-06

Duration: 06:0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