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환율에 물가 비상..."소비자 물가 더 오른다" / YTN

치솟는 환율에 물가 비상..."소비자 물가 더 오른다" / YTN

원-달러 환율이 빠르게 치솟고 있습니다. br br 1달러에 1,200원을 넘어선 뒤로도 오름세를 이어가는데요. br br 가뜩이나 고공행진을 거듭하는 물가를 더욱 자극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br br 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지난해 중순 이후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려온 원-달러 환율. br br 올해 외환시장이 열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결국 1,200원의 벽을 다시 한 번 허물었습니다. br br 미국이 예상보다 서둘러 돈줄을 조일 가능성이 커지자 달러 같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진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br br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 (지난 6일) : 연초 들어 미 연준의 조기 금리 인상 전망이 확산하면서 달러가 원화뿐만 아니라 다른 주요 통화 대비 전체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흐름입니다.] br br 이런 환율 상승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br br [서정훈 하나은행 연구위원 : 지정학적 문제인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내용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더 강할 것으로 예상해 1,200원 선 안착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환율은 외국과의 거래 비중이 큰 국내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br br 특히 석 달 연속으로 3가 넘는 오름폭을 기록한 소비자 물가를 더욱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br br 고물가의 배경 가운데 상당 부분은 유가 상승 등 수입품 가격의 상승세이기 때문입니다. br br 실제로 지난해 11월 우리가 수입하는 원자재와 제품 등의 물가를 말하는 수입 물가는 1년 전보다 35가 넘게 올랐습니다. br br 환율은 수입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br br 예를 들어 1배럴에 80달러짜리 원유를 사올 때, 원-달러 환율이 1달러에 1,000원이라면 우리 돈으로 8만 원이지만, 환율이 1,200원이 되면 같은 양의 원유라도 9만 6천 원짜리가 됩니다. br br 이는 결국 소비자의 부담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br br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수입 물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원화 가치가 떨어지게 되면 가격 상승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요, 이런 부분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가속하면서 국민의 생활고를 악화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물가의 고삐를 다잡기 위해선 물가 안정이 최우선 목표인 한국은행이 적극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습니다. br br 이번 달 기준금리를 다시 한 번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입니다. br br YTN 조태현입니다.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 (중략)br br YTN 조태현 (choth@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2-01-09

Duration: 02:2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