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만의 '조 단위' 계약...원전수출 본격 기지개 / YTN

13년 만의 '조 단위' 계약...원전수출 본격 기지개 / YTN

그동안 침체해 있던 원자력 발전 사업이 수출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br br 이집트 원전 계약을 눈앞에 두고 있고 동유럽 진출도 노리고 있는데, 녹색분류체계 선정이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br br 이강진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이집트 엘바다 원전 사업에 우리나라는 부속건물 건설의 단독협상자로 선정됐습니다. br br 전체 35조 원 규모 중 5~10를 담당하기 때문에 2~3조 수준의 계약이 예상됩니다. br br 23조 규모의 UAE 바라카 원전 이후 무려 13년 만의 조 단위 실적입니다. br br 그동안은 많아야 87억 원 정도의 소규모였습니다. br br 탈원전 정책으로 위축됐던 국내 업계는 반색하고 있습니다. br br 특히 시공을 맡게 될 대기업 외에도 기자재 공급에 참여하는 중소협력업체들의 숨통이 트일 전망입니다. br br 터빈과 옥외 건물 시공에 참여하고 냉각기와 펌프, 물 관련 설비도 국내 기업에서 구매가 진행됩니다. br br [강재호 원전 협력업체 대표 : 기술개발에 재투자할 수 있으며 풍부한 기술력을 갖춘 기술 인력들도 다시 되돌아와서…. 국내 원전 산업의 생태계가 더욱 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어….] br br 러시아가 전체 사업을 주도한다는 아쉬움은 있습니다. br br 다만 올해 입찰이 진행되는 체코와 폴란드 원전을 따내는 게 원래 목표였던 만큼 이번 이집트 건은 원전 수출국으로서의 존재감을 확인시켜준 거로 충분하다는 평가입니다. br br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 체코가 대기 상태에 있고 다른 큰 프로젝트, 주기기를 포함한 프로젝트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할 것으로 봅니다.] br br 한수원은 그동안 공을 들여온 수출 전략이 본격적으로 결실을 볼 것으로 자신하고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정부가 녹색분류체계에서 원전을 제외한 게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합니다. br br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공학과 교수 : 명분상 문제가 생기는 것이 우리는 녹색으로 보지 않는데 너희 나라에서 녹색으로 분류돼 있으니 지원을 해달라는 게 안 될 거 같고, 국내에서도 자금 조달을 할 때 근거가 없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에 될 것 같습니다.] br br 물론 이달 중순쯤 유럽연합이 원자력을 친환경 에너지로 확정할 경우 상황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br br [조현수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과장 : 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향후 상황에 따라서 바뀔 수도 있다…. 원전을 둘러싼 국내 여... (중략)br br YTN 이강진 (jinlee@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2-01-09

Duration: 02:5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