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2만명 전망도"…3차 접종시 7일만 격리

"내달 12만명 전망도"…3차 접종시 7일만 격리

"내달 12만명 전망도"…3차 접종시 7일만 격리br br [앵커]br br 오미크론 변이 탓에 하루 확진자 수가 1만명을 처음 넘었지만 다음달엔 하루 12만 명까지 나올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옵니다.br br 이렇게 되면 방역과 사회기능 모두 마비될 수 있다는 우려에 오늘(26일)부터 확진자의 격리 기간도, 접종완료자 기준도 달라집니다.br br 신새롬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확진자가 지금보다 큰 폭으로 더 늘 것이란 건 방역당국과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입니다.br br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전파율이 델타의 3배일 경우, 다음달 중순 하루 확진자가 3만 명 안팎, 월말에는 12만 명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도 전망합니다.br br 문제는 이처럼 확진자가 늘면, 격리가 필요한 밀접 접촉자도 급증하면서 사회필수기능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br br 그러자 방역당국은 격리기간과 밀접접촉 판정 대상을 줄였습니다.br br 우선 '예방접종완료자'는 2차 접종 후 14일 이후부터 90일 이내까지와 3차 접종을 한 경우만 해당합니다.br br 확진시 격리는 예방접종완료자라면 7일입니다.br br 그렇지 않은 경우는 10일인데, 마지막 3일은 집에 머물러야 하는 '수동감시' 기간입니다.br br 밀접접촉자 기준은 '마스크를 쓰지 않고 2m 이내 거리에서 15분 이상 대화 수준의 접촉을 한 사람'입니다.br br 같은 사무실 근무자 확진 시 KF80 이상 마스크를 끼고 접촉이 없었다면 밀접접촉이 아니지만, 천 마스크라면 밀접접촉자입니다.br br 하지만 방역패스는 지금처럼 2차 접종 후 180일까지 인정됩니다.br br "자가격리는 방역적인 감염 위험성 자체를 차단하는 방역조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2차 접종 후 90일까지만 면제를 시키고… 그 이후에서는 감염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 부분들은 좁게 설정된 부분들입니다."br br 결국 2차 접종 후 3개월 내 3차 접종과 일상생활에서 마스크 착용이 사실상 필수가 된 겁니다.br br 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 (romi@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2-01-26

Duration: 02:0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