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 수십만 명 가능성...사회 유지 대비책 시급 / YTN

격리 수십만 명 가능성...사회 유지 대비책 시급 / YTN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하루 확진자만 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br br 감염 전파로 추가 환자와 밀접접촉자 등 격리자가 급증할 수밖에 없는데, 사회 필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br br 이형원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큰 오미크론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br br 우세종이 되기까지 불과 8주로 14주가 걸린 델타를 압도하고 있습니다. br br 만 명대 확진자 급증으로 전파로 인한 추가 환자와 밀접접촉자도 늘 수밖에 없습니다. br br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 확진자가 늘어나는 것에 비례해서 밀접접촉자 또는 동거인 등 자가격리 환자가 굉장히 많이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사회적으로 필수 기능이 마비될 상황도 있을 수 있어서….] br br 재택치료 환자와 밀접접촉자 등 격리자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정부는 격리 기간을 단축했습니다. br br 접종완료자가 확진되면 기존 10일에서 7일로, 밀접접촉자로 분류되면 격리 없이 건강상태를 지켜보는 수동감시를 합니다. br br 접종완료를 하지 않았다면, 확진 때 10일, 밀접접촉일 때도 7일을 격리합니다. br br 또 밀접접촉자 기준도 강화해 KF80 이상의 마스크 등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채 확진자와 2m 이내에서 15분 이상 대화한 수준으로 한정했습니다. br br 다만 이 같은 조치로 격리자를 최소화한다고 해도, 환자 증가세가 계속된다면 의료, 돌봄, 치안 등 사회 기능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br br 필수 기능 마비에 대비한 지침 마련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입니다. br br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 검사나 혹은 일시격리 부분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임시 동원할 수 있는 다른 대체인력들을 어떻게 마련해 놓을 것인지 등등을 미리 사전에 준비해서 필수기능 유지에 차질이 없게….] br br 정부는 대규모 집단감염 등 비상 상황에서 우선순위인 핵심 업무를 선정하고, 재택근무 활성화와 대체인력 투입을 어떻게 할지가 중요하다며, br br 이런 내용을 포함한 업무 지속 계획을 관계부처에서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br br YTN 이형원입니다. br br br br br YTN 이형원 (lhw90@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2-01-26

Duration: 02:1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