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에 칩 박고 중성화수술 필수…콧대 높은 토종견 혈통 지키기 [e즐펀한 토크]

어깨에 칩 박고 중성화수술 필수…콧대 높은 토종견 혈통 지키기 [e즐펀한 토크]

"하나둘~ 하나둘. 힘차게 옳지 옳지 잘한다. 추워도 운동하자. 그래야 항상 건강하데이~."  br   br 지난 17일 오전 경북 경주시 용명리 마을 공원. 이미옥씨가 구령을 붙이며 새해 13살이 된 황구(黃狗) 진목이와 산책에 나섰다. 조금 뒤 12살 호랑이 무늬 호구(虎狗) 오릉이와 올해 6살이 된 백구(白狗) 서하도 아침운동에 동참했다.  br   br 나란히 거리로 나선 황구·백구·호구는 평범한 시골 반려견이 아니다. 혈통부터 남다른 '꼬리 없는 개'. '댕견'으로도 불리는 천연기념물 540호 경주개동경이(이하 동경이)다. 동경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토종견이다. 꼬리가 짧은 게 특징인데 개체에 따라서는 꼬리가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현재 경북 경주에만 520여 마리가 있다. br   br 귀한 혈통의 동경이들 가운데 소수의 '보호견'이 이번 설 연휴를 전후해 처음으로 고향 경주를 벗어난다. 동경이에 대한 친화성을 높이고 이미지 제고를 위해 처음 진행된 동경이 보호견의 외지 반출, 첫 일반 무료 분양이다. 보호견은 2006년생부터 2016년생까지 '성견(成犬)'으로 분류된 어른 동경이를 의미한다. br   br 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 측은 28일 "2018년부터 해마다 3마리, 1마리, 4마리 등 보호견이 아닌 어린 동경이가 경주 이외 지역에 일반 분양된 사례는 있지만 그 수는 아주 적다"며 "이번 분양은 입양이 사전에 약속된 소수의 가족 만을 대상으로 최대 5마리 안팎의 보호견만 보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달 중순까지 보존협회 측은 30여마리 보호견의 새 가족을 찾아줄 계획이었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26일 무료분양 중단...


User: 중앙일보

Views: 1

Uploaded: 2022-01-28

Duration: 01:2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