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기상도] 코로나 특수에 해 뜬 기업 vs 눈보라에 갇힌 기업

[기업기상도] 코로나 특수에 해 뜬 기업 vs 눈보라에 갇힌 기업

[기업기상도] 코로나 특수에 해 뜬 기업 vs 눈보라에 갇힌 기업br br [앵커]br br 보지 못하던 확진자 숫자를 보게 될 것이라던 방역수장의 말이 현실이 된 한 주 였습니다.br br 그야말로 코로나에 민생경제의 발목이 잡혔는데요.br br 짙게 깥린 코로나 먹구름 속에 나온 좋고 나쁜 기업소식, 기업기상도로 되살펴보시죠.br br 김종수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br br 자고나면 폭증하는 확진자 수 보면, 코로나가 우리곁에 더 가까이 온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해뜨기 직전 새벽이 가장 어둡기 마련이란 격언 믿으며 이번주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br br 먼저 SD바이오, 휴마시스, 래피젠입니다. 감염 폭증에 자가검사가 진단 기본 되면서 대호황 만났습니다.br br 새 코로나 대응체계에선 신속항원검사가 기본입니다. 그러자 보건 당국 검사용부터 기업들 자체수요, 개인 확보 수요 겹쳐 2년 전 마스크처럼 품귀현상 빚고 있죠. 전 국민 지급 주장까지 나왔지만 물량을 댈 수 없답니다. 키트 만드는 SD바이오, 휴마시스, 래피젠 등에는 없어 못파는 큰 장 선 셈입니다.br br 그런데 이 틈 타 신속항원검사에 12만원,15만원 부르는 병원도 있다네요. 물 들어왔다고 노 젓는 것도 정도껏이어야 합니다.br br 다음은 호텔신라, 롯데호텔, 파르나스, 해비치 등 주요 호텔들입니다. 코로나로 파리 날리더니 급증하는 호캉스덕에 실적 만회 나섰습니다.br br 문 닫고 팔리고, 호텔업계에 지난 2년은 죽음의 계곡이었습니다. 그런데 신라, 롯데, 파르나스, 해비치 등 특급 호텔들에 반전 시작됐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손님 늘더니 설 연휴 투숙예약이 1년 전보다 10에서 30까지 늘고 제주도는 만석이었답니다.br br 외국도 못가는데 집 떠나 기분 내보자는 여행판 보복 수요, 거기에 호텔들의 기획상품과 유치전략이 맞아떨어진 결과입니다.br br 이제 흐린 기업입니다.br br 첫 흐린 기업 삼성전자입니다. 임금 인상 놓고 노사간 골이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br br 15번 협상에도 연봉 1천만원 일괄인상에 영업이익 25 달라는 4개 노조와 노사협의회서 정한 7.5 외엔 어렵다는 회사가 접점 못찾았죠.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신청했는데, 조정 안되면 파업권 얻습니다. 이 와중에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도 올해는 역대 최대 15.72 인상 요구했다는 소식도 있었습니다.br br 삼성전자 임직원 중 노조원 비중이 적긴 한데, 70년 무노조 삼성의 이런 상황 헤쳐나갈 노하우가 매우 궁금합니다.br br 다음은 현대자동차, 기아입니다. SNS 글 하나 때문에 큰 시장 인도에서 수난 중입니다.br br 카슈미르는 인도, 파키스탄, 중국이 서로 자기영토라며 전쟁까지 났던 곳이죠. 그런데 파키스탄의 '카슈미르 연대의 날'이었던 지난 5일 양사의 현지법인도 아닌 대리점이 "카슈미르 형제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지지하자"고 트위터에 글 올렸답니다. 인도에선 반발하며 불매운동 조짐 일고 주인도 대사가 인도 외교부 불려가 항의받았습니다.br br 소형차 위주지만 인도는 현대가 2위, 기아가 5위에 공장도 있고 판매량으론 국내 두 배쯤 되는 고성장 시장입니다. 억울한 노릇이지만 빨리 진화해야 하겠습니다.br br 이번엔 카카오페이 보실까요? 경영진 스톡옵션 매각에 주가만 부담인 줄 알았더니 적자까지 났네요.br br 고성장 핀테크답게 작년 매출이 4,586억원으로 무려 61 뛰었는데, 영업손실은 재작년 179억원에서 272억원으로 되레 커졌죠. 알고보니 상장비용과 스톡옵션 행사 보상에 371억원 든 탓이랍니다. 이거 빼면 흑자란 거죠. 최대 보상은 아시다시피 류영준 전 대표 등 경영진의 900억원 규모 스톡옵션 행사였습니다.br br 안팎 비난에 자사주 되샀지만 이미 적자 난 뒤였습니다. 경영진이 회사 미래를 안믿었다 해도 할 말 없겠습니다.br br 마지막은 유통왕국 롯데쇼핑입니다. 작년 성적표 보니 백화점 빼고 다 후진했습니다.br br 작년 롯데쇼핑 연결매출이 15조5천억원대로 3.7 줄고 3천억원 가까운 순손실 냈습니다. 보복소비 몰린 백화점, 하이마트 빼곤 다 낙제점인데, 특히 마트, 슈퍼는 매출 줄고 적자였습니다. 마음먹고 런칭한 이커머스 롯데온은 매출이 21 넘게 줄고 영업손실이 1,560억원으로 매출보다 컸습니다.br br 트렌드 따라잡고 고객 끌어들이는데 실패했다는 말입니다. 대표도 교체한 롯데의 절치부심이 올해는 통할지 지켜보시죠.br br 근대 중국의 대문호 루쉰이 쓴 '페어플레이는 아직 이르다'란 글이 있습니다. 미약하고 혼란스럽던 시대 중국의 입장에서 나온 글입니다만 21세기에는 기업은 물론, 모든 분야에서 페어플레이가 필요하지 않을까요?br br 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2-02-13

Duration: 05:3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