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고령층 확진…"위중증·사망 곧 증가 우려"

늘어나는 고령층 확진…"위중증·사망 곧 증가 우려"

늘어나는 고령층 확진…"위중증·사망 곧 증가 우려"br br [앵커]br br 확진자 급증에, 위중증 환자 수의 핵심 변수인 고령층의 확진 비율이 다시 증가추세로 돌아섰습니다.br br 방역당국은 이번주부터 증가세가 좀 더 뚜렷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데, 이번주에 끝나는 거리두기 결정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br br 김민혜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국내에서 오미크론이 우세종화된 건 지난달 셋째주.br br 이후 1만 명을 넘기 시작한 확진자 숫자는 보름여만에 5만 명으로 껑충 뛰며 가파른 증가세를 거듭해왔습니다.br br 방역당국이 집중하는 60세 이상 고위험군에도 다시 경고등이 켜지고 있습니다.br br 1월 넷째주 8.0였던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지난주 11.7, 두 자릿수로 늘어났고, 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2주 전 16.3에서 25.7로 올라갔습니다.br br "(지역사회 유행이) 급증해서 노출기회가 이전보다 많이 증가했다는 것, 두번째는 방어능력이 좀 감소한 것으로 추정…"br br 방역당국은 위중증 환자 수가 확진자 수 급증과 2~3주 가량 시차를 두고 일어나는 만큼, 이번주부터 뚜렷한 증가를 예상합니다.br br 그러면서 현재는 1,500명까지 관리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며 그 범위내에서 안정적인 관리가 중요한 목표라고 설명했습니다.br br 이 수치의 통제 가능 여부가 이번 주 끝날 거리두기의 완화 여부를 결정할 핵심인데, 방역전문가들은 정부의 신중한 태도를 촉구합니다.br br "사실은 영업시간 10시나 9시나 차이가 없어요. 그런데 사람들의 마음가짐이…그래서 정부가 사인을 주는 게 (중요합니다) 11월 1일날 다 풀어놓고 어떻게 되는지 알고 있잖아요."br br 여기에 개학을 앞두고 7세에서 18세 사이 청소년들의 발생률이 급증하고 있는 점도, 방역정책 향방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makereal@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2-02-14

Duration: 02:0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