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사태로 국제곡물가 '들썩'...밥상물가 오르나? / YTN

우크라 사태로 국제곡물가 '들썩'...밥상물가 오르나? / YTN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곡물 시장도 출렁이고 있습니다. br br 우리 국민의 식탁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관계 당국이 대응에 나섰습니다. br br 김민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세계 곡물 시장의 '큰손'입니다. br br 러시아는 단일 국가 기준 밀 수출 1등 국가로, 세계 수출량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br br 옥수수 수출 세계 4위인 우크라이나는 전 세계 수출량의 15를 공급합니다. br br 이런 두 나라 간의 무력 충돌로 세계 곡물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는 추세입니다. br br 최근 5년간 톤당 평균 188불이던 밀 가격은 지난달 평균 290불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평균 146불이던 옥수수 가격도 254불로 치솟았습니다. br br 일각에서는 앞으로 곡물 가격이 더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br br 여기에 최근 원-달러 환율 강세까지 덮치면 국내물가의 상승 압력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br br [한두봉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 단기적으로 국제 곡물 가격이 뛰면 우선 축산업을 하는 농민들한테 가장 피해가 갑니다. 이러다 보면 식품 가격도 올라가고 식탁 물가가 굉장히 위협을 받게 될 것입니다.] br br 사룟값 등 고정 생산비가 커져 농가의 부담이 무거워지면, 그 영향이 소비자에게로 전가되는, 소위 연쇄 작용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겁니다. br br 관계 당국은 현재 곡물 비축분을 고려할 때 6월~7월까지 단기 영향은 제한적일 거로 전망합니다. br br 다만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충격을 줄이기 위해 지원책 마련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br br [김정주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과장 : 최근 곡물 가격 상승에 대응해서 업계의 비용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사료업체나 식품업체에 지원 중인 원료구매자금의 금리를 인하하는 방안을 관계부처하고 협의하고 있습니다.] br br 또 향후 안정적 공급이 가능한 원산지로 수입 선을 다각화하는 등의 방안을 업계와 논의하고 있습니다. br br YTN 김민성입니다. br br br br br br YTN 김민성 (kimms0708@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2-02-28

Duration: 02:0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