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소비자엔 이익…"디지털 경제 맞게 보완 필요"

기업·소비자엔 이익…"디지털 경제 맞게 보완 필요"

기업·소비자엔 이익…"디지털 경제 맞게 보완 필요"br br [앵커]br br 한미 자유무역협정 체결 뒤 양국 간 교역 증대로 우리 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는데요.br br 한미FTA가 지난 10년간 소비자들에는 어떤 영향을 줬는지, 기업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한지이 기자가 살펴봤습니다.br br [기자]br br 발효 시점까지도 농축산물 시장과 중소기업 등 특정 집단의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비판과 자동차 등 첨단 산업 수출길이 커질 것이라는 입장이 팽팽히 맞섰던 한미FTA.br br 시장 개방과 관세 인하로 10년간 소비 생활에는 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br br 관세 장벽이 허물어지면서 대형마트에서는 오렌지나 소고기 같은 수입 농축산물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됐고, 의약품이나 와인 같은 상품들도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게 됐습니다.br br 하지만 관세 혜택을 유통업체가 독점하는 구조 탓에 소비자들의 FTA 체감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도 나옵니다.br br "관세라든지 이런 부분들이 인하가 됐지만 유통의 문제 때문에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가격 인하로 전가되지 못한 측면들도 분명히 있는 것 같아서 향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집니다."br br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대미수출업체 15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57.3는 관세 철폐와 인하를 통한 소비자 이익 확대를 한미FTA의 가장 큰 성과로 꼽았습니다.br br 기업, 산업계에 한미 FTA가 미친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긍정적이란 답이 97.3에 달했고, 가격 경쟁력에 도움이 됐다, 거래 관계에 신뢰가 구축됐다고 평가도 나왔습니다.br br 하지만 한미FTA는 당장 새로운 10년을 대비한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br br "한미 모두 디지털 경제로 나아가고 있는데 한미FTA에 이런 부분이 약한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도 좀 보완해서 양국 경제 협력에 교두보가 될 수 있도록…"br br 코로나19 이후 확산한 자국 우선주의와 공급망 차질을 해결하는데 한미 FTA가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hanji@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2-03-14

Duration: 02:0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