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깃값 12년 담합...하림·마니커 등 과징금 1,758억 / YTN

닭고깃값 12년 담합...하림·마니커 등 과징금 1,758억 / YTN

하림과 마니커를 비롯한 16개 육계 신선육 사업자들이 12년 동안 서로 짜고 닭고깃값을 올려오다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됐습니다. br br 과징금만 1천7백억 원 넘게 부과됐습니다. br br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권남기 기자! br br 하림이나 마니커처럼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업체들도 포함됐는데요, 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 br br [기자] br 하림과 마니커, 참프레 등 16개 업체가 서로 짜고 가격을 올려오다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됐습니다. br br 국내 닭고기 공급의 77 이상을 차지하는 업체들로, 이들의 닭고깃값 담합은 지난 2005년부터 무려 12년 동안 45번에 걸쳐 이뤄졌습니다. br br 이들 업체는 닭을 키워서 도축한 뒤 치킨 프랜차이즈 등에 납품하거나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는데요. br br 이들은 닭고깃값의 60 정도를 차지하는 살아있는 닭의 가격을 올리는 수법을 썼습니다. br br 서로 짜고 각 회사의 달걀이나 병아리를 없애는 방법으로 닭의 전체 마릿수를 줄이며 값을 올린 겁니다. br br 또, 시장 전체의 가격을 올리려고 업체들이 동시에 살아있는 닭을 대량 구매한 뒤 냉동 비축하기도 했습니다. br br 여기에 더해 도축 비용을 올리거나 가격 할인을 서로 자제하는 방식으로 판매가격을 조정했습니다. br br 이 같은 담합은 사업자들이 가입된 한국육계협회 내부 회합을 통해 주로 이뤄졌습니다. br br [조홍선 공정거래위원회 카르텔조사국장 : 판매가격, 생산량, 출고량 등을 합의하고 상호 합의 이행 여부를 점검·독려하거나 담합으로 육계 신선육 판매가격 인상 효과가 나타났는지는 분석하고 평가하기도 하였습니다.] br br 공정위는 이들 16개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758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br br 또, 하림 총수 김홍국 회장의 아들 회사인 올품을 포함한 5개 업체는 과거 법 위반 전력 등을 고려해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br br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br br br br br br YTN 권남기 (kwonnk09@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97

Uploaded: 2022-03-16

Duration: 01:5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