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보강공사 1년밖에 안 됐는데...성산대교 남단 곳곳 '균열' / YTN

[단독] 보강공사 1년밖에 안 됐는데...성산대교 남단 곳곳 '균열' / YTN

서울 성산대교는 건설된 지 40년이 넘으면서 노후화한 터라 2025년 완료를 목표로 보강공사가 한창인데요. br br 이미 공사가 끝난 구간에서 무더기로 균열이 생긴 사실이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br br 황윤태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서울 마포구 망원동에서 영등포구 양평동으로 이어지는 성산대교 남단입니다. br br 교각에 얹힌 상판 콘크리트 곳곳에 생긴 균열들이 이리저리 뻗어 있습니다. br br 43톤이 넘는 대형 화물차까지 다닐 수 있게 하는 보강 공사를 지난해 3월 마쳤는데, 벌써 이상 징후가 나타난 겁니다. br br 문제가 생긴 곳은 올림픽대로로 이어지는 남단 접속교 부분입니다. br br 폭 9m짜리 바닥 판 3개가 연이어 설치돼 있는데요. br br 보시는 것처럼 금이 하나도 가 있지 않아야 할 바닥판 곳곳이 갈라져 있습니다. br br 균열이 간 교량 바닥 판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시공됐습니다. br br 현장에서 바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대신 공장에서 미리 만든 콘크리트를 가져와 까는 공법입니다. br br 서울시는 공사 기간을 3개월 줄이겠다며 공사 도중 8억 원 넘는 추가 비용을 들여 공법을 바꿨는데 완공 1년도 안 돼 문제가 생긴 겁니다. br br YTN이 확보한 서울시 내부 문건을 보면, 균열 원인으로 네 가지가 거론됐습니다. br br 애초 바닥 판 재료가 잘못 계량됐거나, 양생 당시 시멘트 온도가 잘못됐을 가능성, 운반 또는 설치 과정에서 부주의했을 가능성이 언급됐습니다. br br 서울시가 외부 기관에 조사를 의뢰했더니 시공 당시 바닥 판 사이 간격을 제대로 못 맞춰 특정 부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진 탓으로 결론 났습니다. br br 부실시공으로 균열이 생겨났단 겁니다. br br [서울시 관계자 : 일부 구간에서 바닥 판하고 정확하게 일치가 돼야 하는데 약간 들뜸이 나온 데가 있어요. (공사) 초기에. 무게가 분산돼야 하는데…. (들뜸이 있어 균열이 발생했습니다)] br br 서울시는 조만간 보수 공사를 진행하고, 시공사와 감리업체에도 부실시공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황윤기 서울시 교량건설과장 : 시민들의 안전에 중대한 영향 끼친 사안이라고 판단 되면 감독한 감리사라든지, 시공한 시공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입니다.] br br 하지만 서울시도 공사를 발주하고 주관한 주체라는 점에서 공사 감독 의무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br br YTN 황윤태입니다. br br br ※ '... (중략)br br YTN 황윤태 (hwangyt2647@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8

Uploaded: 2022-03-21

Duration: 02:2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