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알고도 막지 못한 6살 장애 아동의 죽음 / YTN

아동학대 알고도 막지 못한 6살 장애 아동의 죽음 / YTN

지적 장애가 있는 6살 아들을 혼자 집에 내버려 둬 숨지게 한 혐의로 30대 엄마가 구속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데요. br br 해당 가정은 앞서 아동학대가 확인돼 지자체 등으로부터 관리 대상으로 지정됐지만, 보호조치에 강제성이 없다 보니 아이의 생명을 지키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br br 이상곤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8일 충남 아산의 한 주택에서 6살 지적 장애 아동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br br 현관문에는 4개월 동안 전기료가 연체돼 전기 공급이 제한된다는 경고문과 복지 서비스 안내문들이 붙어 있습니다. br br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아이가 굶어 죽은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br br 그런데 이 가정이 '아동학대 사례 관리 대상'으로 지정돼 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br br 아동학대가 확인됐고 재발할 우려가 있는 가정에 내려지는 조치입니다. br br 아이 엄마인 A 씨가 서울에 있는 지인 집에 머물다가 아이를 때렸다는 신고가 경찰에 접수된 건 지난 1월입니다. br br 경찰 조사에서 A 씨는 아이가 남의 집 물건을 만지고 문서를 찢어 등을 때렸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br br 당시 아이 몸에서 외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입소 가능한 시설도 없어서 이들에게는 원래 가정으로 돌려보내지는 '원가정 보호 조치'가 내려졌습니다. br br 이후 아산시와 아동보호전문기관이 한 차례씩 대면 면담을 하고, 경찰도 2차례 전화 상담을 진행했지만 별다른 징후는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br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인 데다 아이가 장애를 가지고 있어서 더욱 각별한 보호조치가 필요했지만, 결국, 아이는 세 기관의 합동 가정 방문을 앞두고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br br 지난해 2월에도 경북 구미의 한 빌라에서 3살 아동을 방치해 숨지게 한 친모와 언니가 체포되는 등 보호자의 방치 행위로 아이가 숨지는 사건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전문가들은 아동 학대 사례 관리가 진행돼도 강제성이 없어 한계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br br [공혜정 대한아동학대방지협회 대표 : 부모가 외면하고 방치를 했어도 사회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어떤 강제성이 있어야 되거든요. 그런데 아이를 확인할 수 있는 강제성이 없다는 거죠. 중요한 것은 의심만으로도 개입할 수 있어야 하는 민감성이 필요합니다.] br br 경찰은 보름 넘게 아이를 내버려 두고 집을 나갔다는 A 씨의 진술이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 CCTV를 분석하고 있으며, 살인... (중략)br br YTN 이상곤 (sklee1@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1

Uploaded: 2022-04-12

Duration: 02:3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