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는 남성, 양육은 여성이?" 성 역할 고정관념 크게 줄었다 / YTN

"생계는 남성, 양육은 여성이?" 성 역할 고정관념 크게 줄었다 / YTN

20~30대 젊은 층 ’불평등 응답’ 성별로 크게 갈려 br "여성 대상 폭력 심각" 응답자 85.7 공감 br "코로나19로 인해 소득 줄고, 구직 어려워져"br br br 남성은 생계를 책임지고, 여성은 자녀 양육을 맡는다는 성 역할에 대한 전통적인 고정관념이 5년 전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사회 전반적인 성 평등 수준도 남녀 평등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었습니다. br br 기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전통적인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은 5년 만에 크게 줄었습니다. br br '생계는 남성이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응답자의 29.9로 2016년보다 12포인트 넘게 감소했습니다. br br '자녀에 대한 주된 책임이 여성에게 있다'고 답한 사람도 5년 전엔 절반이 넘었지만 (53.8) 이번엔 열 명 가운데 두 명도 안 됩니다.(17.4) br br 사회 전반적 성 평등 수준에 대해서도 '남녀 평등하다'고 보는 사람이 34.7. br br 5년 전 21.0에서 크게 올랐습니다. br br '여성이나 남성에게 불평등하다'는 답은 남녀 모두 5년 전보다 줄긴 했지만, 여전히 여성 셋 가운데 둘은 여성에게 불평등하다고 답했습니다. br br 특히 20~30대 젊은 층은 성별로 의견이 크게 갈렸습니다. br br 여성 20대의 73.4, 30대의 76.8가 '여성 불평등'을 토로한 반면 남성 20대의 24.0, 30대의 19.3는 '남성에게 불평등하다'고 답했습니다. br br 여성을 대상으로 한 폭력에 대해서도 열에 여덟 명 이상이 심각성을 공감했고 응답자 절반 이상은 불법 촬영물에 의한 피해 대상이 될까 불안해했습니다. br br [최문선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장 : 성별 연령별로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5년 전에도 그랬듯이 올해도 여성 폭력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는 수준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코로나19 때문에 남녀 모두 40 넘게 소득이 줄었다고 답했고, 남녀 모두 30 이상이 구직이 어려워졌다고 답했습니다. br br 이번 조사는 양성평등 기본법에 따른 것으로 통계청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해 9월과 10월 전국 4,490가구 8천358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과 자기기입, 인터넷 조사를 병행해 실시했습니다. br br YTN 기정훈입니다. br br br br br YTN 기정훈 (prodi@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

Uploaded: 2022-04-19

Duration: 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