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라며 보험료 인상…금리 오르자 "당장 못내려"

저금리라며 보험료 인상…금리 오르자 "당장 못내려"

저금리라며 보험료 인상…금리 오르자 "당장 못내려"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가입자가 낸 보험료를 굴려 이익을 내는 보험사는 금리에 민감할 수밖에 없죠.br br 그런데 코로나19 직후 금리가 너무 낮아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던 보험사들이 이제 금리가 오르자 당장은 보험료를 내리기 곤란하다고 버티고 있습니다.br br 조성미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코로나19 사태가 닥친 재작년 기준금리는 사실상 제로 금리에 가까운 연 0.5까지 떨어졌습니다.br br 그러자, 장기 보험을 주로 판매하는 생명보험사들은 재작년 하반기와 작년 초에 걸쳐 0.25포인트가량씩 예정이율을 내렸습니다.br br 예정이율이란 가입자의 보험료를 투자해 얼마를 벌 수 있을지 장기 수익률을 산출한 건데, 예정이율이 낮아지면 보험료가 오릅니다.br br 저금리 상황에선 자산 운용 수익성이 떨어지니 보험금 지급자산을 마련하고 이익을 내려면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겁니다.br br 그런데, 지난해부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네 차례 인상해 코로나19 발생 직전보다 높은 1.5까지 올렸고 앞으로 더 오를 것이 확실하지만, 최근까지 예정이율을 다시 올려 보험료를 내린 곳은 NH농협생명과 흥국생명 외엔 없고, 다른 곳들은 조정 계획도 당분간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br br "생명보험사의 예정이율은 긴 보장 기간에 걸쳐 확정돼 적용되는 이율로, 단기 금리의 변동성을 즉각적으로 반영해서 운용하기가 어렵습니다."br br 하지만, 재작년에도 불확실성은 여전했는데, 예정이율 인하와 보험료 인상을 단행했던 것과 비교하면 설득력은 떨어집니다.br br "(2020년에도) 어떻게 될 지 몰랐는데, 지금은 엔데믹으로 가는 방향에서 크게 실익을 차지할 만한 게 없을 것 같으니 일단은 두고보자 하는 것 같아요."br br 하지만 금융당국은 보험료 결정은 시장 자율에 맡겨져 있다며 개입 여지가 없다고 밝혔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2-04-19

Duration: 02:0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