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안하다 선호야"...1주기에도 여전한 일터의 죽음 / YTN

"미안하다 선호야"...1주기에도 여전한 일터의 죽음 / YTN

고 이선호 씨가 평택항에서 작업 도중 사고를 당해 숨진 지 1년이 됐습니다. br br 아버지는 자식 잃은 아픔이 여전하다면서 이 씨 사고 뒤에도 여전히 산업재해가 잇따르는 현실을 개선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br br 추모 현장에 이준엽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br br [기자] br 자식 잃은 아버지가 눈물을 흘립니다. br br 아들과 함께 일할 때 쉬면서 담소를 나누던 벤치를 울타리 너머로 바라봅니다. br br "벤치에서 둘이서 앉아서 휴식도 하고… 장난치고…." br br 1년 전 컨테이너 정리 작업을 하다가 300㎏ 철판 날개에 깔려 숨진 이선호 씨. br br 아버지가 함께 일하자고 권한 곳에서 23살 젊은 나이로 숨진 안타까운 사연이 YTN 보도로 처음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br br 당시 사전 계획도 없이 작업하고, 안전장비도 착용하지 않는 등 수많은 안전수칙 위반사항이 확인돼 5명이 기소됐습니다. br br 하지만 1심 재판부는 5명 모두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했고 원청인 동방 법인에는 벌금 2천만 원을 내도록 했습니다. br br 유족들은 솜방망이 처벌이라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br br [권영국 고 이선호 씨 사고 변호사 : 우리 수사와 재판을 담당하고 있는 사법 당국이 우리 기업들이 안전을 무시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왔다는 사실을 우리는 뼈저리게 경험해야 했습니다.] br br 사고가 일어난 지 1년, 진전도 있었습니다. br br 이 씨 사고를 계기로 항만사업자들에게만 맡겼던 안전관리 책임을 정부에게도 분담하도록 하는 항만안전특별법이 통과된 겁니다. br br 하지만 이 씨 추모를 위해 모인 단체는 항만 안전을 위해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습니다. br br 주무부처인 해수부의 감시기능이 약하고 업계 노동자 3분의 2 가까이가 비정규직이라 안전과 관련한 논의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br br [김기홍 고 이선호 님 사망사고 대책 위원장 : 61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고 이들은 다 계약직 노동자들입니다. 안전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대책을 강구 할 것을 요구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 br br 고 이선호 씨의 아버지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뒤에도 일터에서 죽음이 끊이지 않는데 오히려 기업들은 법을 완화해달라고 요구한다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br br [이재훈 고 이선호 씨 아버지 : 자식을 잃은 고통보다 잠재적 범죄자 취급을 당하는 게 더 힘이 듭니까? 사법부는 법의 엄격한 잣대로 기업주를 구속 수사하여….] br br 유족과 노동 단체는 이선호 씨가 ... (중략)br br YTN 이준엽 (leejy@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22-04-22

Duration: 03:1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