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 대학가 '학점 인플레'…등록금은 동결

코로나 시대 대학가 '학점 인플레'…등록금은 동결

코로나 시대 대학가 '학점 인플레'…등록금은 동결br br [앵커]br br 코로나19 사태로 대학교에서는 B학점 이상을 받은 학생들이 크게 느는 등 이른바 학점 인플레이션을 빚고 있습니다.br br 그동안 학내 갈등의 주요 원인이던 등록금은 대부분 동결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br br 이동훈 기자입니다.br br [앵커]br br 지난 2년간 대학 캠퍼스는 그야말로 텅 비어있었습니다.br br 강의와 시험은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됐고 평가방식은 절대평가가 많았습니다.br br 이에 높은 학점을 받는 학생들이 늘면서 이른바 '학점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이어졌습니다.br br "코로나 이후에는 아무래도 줌이나 인터넷으로 비대면으로 시험을 보다 보니까…성적을 많이 잘 주시는 편이…학점 인플레가 없다고는 말할 순 없을 거 같습니다."br br 실제로 지난해 4년제 일반대학과 교육대학에서 B학점 이상을 받은 학생의 비율은 83.br br 전면적 원격수업이 시작된 2년 전에 비해 4포인트 떨어지긴 했지만 코로나 사태 이전 71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입니다.br br 교육부는 "학교 일상회복에 따라 대면수업이 늘어나고 학사 관리가 엄격해지면서 이처럼 높은 비율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br br 코로나 상황에서 학내 갈등의 큰 부분을 차지하던 등록금은 대부분 학교가 동결 기조를 유지했습니다.br br 다만 학생 1인당 부담액은 676만 원 선으로 1만8천 원 정도가 올랐는데 교육부는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예체능, 공학계열 입학정원이 늘어난 탓"이라고 분석했습니다.br br 반면 사립대의 절반 이상이 입학금을 없애기로 결정해 지난해 17만 원 선이었던 평균 금액은 7만 원대로 떨어졌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yigiza@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4

Uploaded: 2022-04-29

Duration: 01:4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