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성장률 잇단 하향 조정...새 정부 과제 '엄중' / YTN

경제 성장률 잇단 하향 조정...새 정부 과제 '엄중' / YTN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여파로 올해 국내 경제 성장률 전망이 잇따라 하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br br 새 정부 경제팀은 고물가와 무역수지 적자라는 엄중한 상황 속에서 출범하게 됐습니다. br br 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세계적인 곡창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에서 북쪽으로 60km 떨어진 소도시 보로디안카. br br 러시아의 침공으로 곳곳이 파괴되고 불탔습니다. br br [송솔나무 자원봉사자 플루티스트 : 부수는 데 며칠밖에 걸리지 않았어요. 아직도 저 안에는 너무나도 많은 시신이 있습니다.] br br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는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br br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br br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2.5로, 지난해 말 발표 때보다 0.4p 하향 조정했습니다. br br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보다 1.3p 오른 3.8로, 내수에서 가장 비중이 큰 민간 소비 성장률은 지난해보다 0.8p 낮은 2.8로 전망했습니다. br br 실질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보다 7.5p나 떨어진 2.4로 예측했습니다. br br 앞서 지난달 국제통화기금 IMF도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을 3에서 2.5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br br 한국은행은 글로벌 GDP에서 17를 차지하는 EU의 경제 성장률이 1p 하락하면 한국의 대 EU 명목 수출이 최대 3.2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br br 원유를 비롯한 국제 원자잿값이 폭등하면서 무역 수지는 두 달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br br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 국제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2개월 연속으로 무역 적자가 발생한 만큼, 우리 수출입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br br 새 정부 경제팀은 1,270원대 원·달러 환율과 4 후반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 1∼4월 무역수지 66억 달러 적자 상황에서 출범하게 됐습니다. br br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중국의 경기 둔화 등 대외 여건이 악화하는 가운데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불식시키는 게 최우선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br br YTN 이승윤입니다. br br br br br br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22

Uploaded: 2022-05-08

Duration: 02:4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