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중심축 미국으로 이동…중국 달랠 묘수 찾아야

경제 중심축 미국으로 이동…중국 달랠 묘수 찾아야

경제 중심축 미국으로 이동…중국 달랠 묘수 찾아야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우리 경제는 그동안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왔는데요.br br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중심축이 미국쪽으로 이동하는 모습입니다.br br 다만 중국의 반발을 달랠 묘수를 찾는 것은 우리 정부의 숙제가 됐습니다.br br 김장현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삼성전자 평택 공장에서 반도체 웨이퍼에 서명하는 한미 정상.br br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반도체와 배터리 등 차세대 첨단 산업 분야의 양국간 협력 강화에 방점이 찍혔습니다.br br "우리는 경제가 안보, 안보가 곧 경제인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새로운 현실에 맞게 한미동맹도 한층 진화해 나가야 합니다."br br "대한민국과 미국의 동맹은 어느 때보다 굳건하고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급망을 강화하고 충격에 대비하도록 할 것이며 경쟁 우위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br br 구체적으로 반도체 분야에서는 우리 기업의 앞선 기술력과 생산 능력에 미국의 설계 기술이 더해져 상승효과를 낼 전망입니다.br br 전기차 배터리와 로보틱스, 도심항공모빌리티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등의 분야에서도 공동 기술 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br br 다만 경제 중심축이 미국으로 이동하고,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 IPEF에 출범 멤버로 참가하는 건 중국의 반발이 우려되는 부분입니다.br br "여전히 우리는 원료라든지, 핵심 광물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런게 없으면 생산을 정상화할 수 없습니다. 신중하게 중국과의 관계 설정이 불가피한 것입니다."br br 중국은 우리 최대 교역국으로 지난해 전체 수출의 25가 넘는 1,629억 달러를 수출했습니다.br br 미국과의 '경제동맹'을 강화하면서도 중국을 달랠 수 있는 묘수를 찾아야 하는 이유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7

Uploaded: 2022-05-22

Duration: 02:0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