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침공 100일...고물가에 무역적자 '장기화' 우려 / YTN

우크라 침공 100일...고물가에 무역적자 '장기화' 우려 / YTN

’코로나에 우크라 전쟁’ 여파…한국경제 ’이중고’ br 지구촌 ’전쟁 장기화’ 후폭풍…물가 ’고공행진’ br ’생산-소비-투자’ 2년여 만에 ’트리플 감소’br br br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100일이 되면서 우리 경제는 고물가에다가 곡류 등의 수급 불안을 겪고 있습니다. br br 특히 불안정한 글로벌 공급망과 에너지 가격 고공 행진이 장기화하면서 무역적자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달걀값·물가 잡기 전쟁' 홍남기 전 경제부총리 현장 점검 '총력전' br br 카메라 앞에 나서며 물가 잡기와 경제 살리기 총력전에 매진하기는 새 정부도 마찬가지입니다. br br 2년여에 걸친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이 채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인해, 엎친 데 덮친 격의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br br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지난달 23일) : 거의 모든 음식에 (밀가루가) 기초 재료로 들어가니까 국민들이, 소비자분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을 좀 써주세요.] br br 전쟁이 100일째에 접어들며 예상 밖으로 길어지자 국내외에서 비명이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사룟값 급등으로 인한 달걀과 고깃값은 물론, 밀가루 등 곡류 값 급등에다가 공장 가동에 필수적인 원자재의 수급 차질과 고유가 때문입니다. br br [양태석 대성주철공업 대표 겸 경인주물공단사업협동조합이사장 : 예를 들어서 고철 같은 게 코로나 이전에는 (1kg에) 400원대 하던 것이 850원 이렇게 되다 보니까 거의 더블(2배)로 올랐죠.] br br 수출입 상황을 보면 무역대국 한국이 직격탄을 맞고 있음이 여실히 드러납니다. br br 역대 5월 중 최대치의 수출을 달성했음에도 원자재와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지난달 수입 증가율이 수출보다 훨씬 높은 32를 찍으면서 무역수지는 두 달 연속 적자의 늪에 빠졌습니다. br br 원유와 가스, 석탄 등 3대 에너지원 수입액은 147억 5천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67나 급증했습니다. br br 식량 보호주의 확산으로 밀과 옥수수 등 농산물 가격도 급등해 농산물 수입액은 24억 2천만 달러로 석 달 연속 20억 달러를 넘었습니다. br br 특히 생산과 소비, 투자가 2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트리플 감소'를 기록한 가운데 일자리와 경제성장의 중추인 제조업의 생산 능력도 1년 8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br br 새 정부는 기업 활동을 방해하는 규제를 모... (중략)br br YTN 김상우 (kimsang@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40

Uploaded: 2022-06-02

Duration: 03:0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