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있저] 5월 소비자물가 5.4% 상승...하반기 물가 전망은? / YTN

[뉴있저] 5월 소비자물가 5.4% 상승...하반기 물가 전망은? / YTN

■ 진행 : 함형건 앵커 br ■ 출연 : 정철진 경제평론가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br br br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5.4를 기록하며 약 14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죠. 물가 상승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또 우리 경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정철진 경제평론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br br 안녕하세요.5월 소비자물가가 5를 돌파. 5라는 숫자가 상당히 의미가 있는 숫자 같은데요. 2008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인데 2008년 8월이라고 하면 세계 금융위기가 오기 직전인 거죠? br br [정철진] br 그렇습니다. 약간 찝찝한 그런 데자뷔를 느끼게 하는데요. 지난 5월입니다. 5.4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었는데 앞자리가 5자가 언제였나를 쭉 찾아보니까 2008년 8월이었습니다. 당시가 5.6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었고요. 그때도 기억을 더듬어보면 물가 너무 높다. 당시에 주택대출담보금리가 한 연 7 이상 됐었을 때였습니다. 그런데 8월, 9월 10월에 바로 리먼브라더스가 부도나면서 세계 금융위기가 찾아왔죠. 딱 그렇게 된다는 건 아니지만 5가 주게 되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우리에게 두려움, 공포스러움은 분명히 있는 겁니다. br br 특히 지금 상황별로 보면 시작은 먹거리와 에너지 즉 국제유가와 곡물가격 상승으로 시작은 했지만 지금 보면 전방위적으로 다 오르고 있거든요. 이것은 이것은 먹거리와 에너지물가가 사회 곳곳으로 다 전염됐다고 볼 수 있겠고요. 지금 생활물가지수 6대, 신선식품지수 특히 보시면 소비자물가 중에 외식물가가 7.4입니다. 평균이 7.4라면 갈비탕이라든가 냉면이라든가 품목별로는 거의 20 가까이 오른 그런 외식 상품도 있다, 이렇게 보면 될 것 같고요. br br 실제적으로 우리가 보통 소비자물가 외에 먹거리와 에너지 그러니까 석유과하고 먹거리를 뺀 근원물가지수라는 걸 따로 내거든요. 그게 4.1. 그러니까 이미 석유값이 올라서 그래, 에너지, 먹거리 가격 올라서 그래, 이런 것들이 우리 생활 곳곳에 다 전염됐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br br br 품목별로 보더라도 전방위적으로 오르고 있는 상당히 구조적인 문제다. 지금 말씀하셨듯이 이런 장바구니 물가는 말할 것도 없고요. 아까 리포트에도 봤습니다마는 소비자가 나와서 물가가 한 2배 정도 오른 것 같다. 체감도는 이미 다 그렇다는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9

Uploaded: 2022-06-03

Duration: 15:3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