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책에도 시멘트·철강 수송 막혀…장기화 '우려'

비상대책에도 시멘트·철강 수송 막혀…장기화 '우려'

비상대책에도 시멘트·철강 수송 막혀…장기화 '우려'br br [앵커]br br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무기한 집단운송거부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안 그래도 비싼 경윳값 등으로 걱정되던 물류 운송 차질이 현실화했습니다.br br 대응에 나선 정부는 파업 장기화 조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br br 한지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br br [기자]br br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의 총파업 첫날.br br 비상 수송대책을 가동한 국토교통부는 집단 운송 거부에 대비한 사전 물류 운송 조치로 아직까지는 전국적 물류 피해는 없다고 밝혔습니다.br br 또 전국 12개 항만의 야적장 수용 능력 대비 컨테이너가 쌓인 비율이 68.8로 평소와 비슷하며, 이들 항만 모두 정상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br br "예고된 파업이다 보니까 너무 장기화되면 조금 어려울 수 있는 경우도 있는데 저 일부 시멘트업계나 철강업계는 사전 수송들을 많이 해놔서 아직까지는 여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br br 하지만 정부 평가와 달리, 산업계 곳곳에서는 파업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br br 전국 시멘트 출하량은 평소 대비 10 선으로 급감했고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하루 9,000t이던 철강 출하가 전면 중단됐습니다.br br 유통 현장에서도 공급 중단으로 피해가 점점 현실화하면서, 업계는 파업 장기화를 우려하고 있습니다.br br 한편, 해양수산부는 비상수송대책으로 군 위탁 차량과 관용 컨테이너 운송 화물차를 부산항 등 주요 항만 등에 투입하고, 필요시 부두 내 이송 장비를 부두 밖으로 임시 운행할 수 있도록 조치했습니다.br br "부산 신항 같은 경우에는 통로가 바뀔 경우를 대비해서 부두 내에 화물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를 모두 개통해서 원활하게 다닐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고요. 지자체와 적극 협조해서 수송에 차질이 없도록…"br br 정부는 정상 운행차량 운송을 방해할 경우, 경찰과 협조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hanji@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2

Uploaded: 2022-06-07

Duration: 02:0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