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비상경제장관회의...유류세 인하 폭 37% 가닥 / YTN

오늘 비상경제장관회의...유류세 인하 폭 37% 가닥 / YTN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국제 원자재 가격와 물류 비용이 치솟으며 국내 물가도 연이어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습니다. br br 이에 정부는 유류세 인하 폭을 현행 30에서 37로 늘리는 방안을 오늘 오후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확정해 발표할 전망입니다. br br 취재 기자를 연결합니다. 이승윤 기자! br br 정부가 유류세 인하 폭을 법적 최대 한도인 37까지 낮추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요? br br [기자] br 네, 그렇습니다. br br 휘발유·경유 가격이 리터당 2,100원 선까지 오르자 마지막 남은 한 장의 카드를 쓰기로 한 겁니다. br br 정부는 이미 30까지 낮춘 유류세를 현행 법령이 허용하는 최대치인 37까지 낮추는 방안을 최종 검토 중입니다. br br 교통세법상 유류세는 기본 세율과 높은 세율로 나뉘는데, 유류세 인하 전 기준으로 보면 정부는 높은 세율을 적용해 휘발유의 경우 리터당 820원을 부과했습니다. br br 지난해 말 국제유가가 오르자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휘발유·경유·LPG 부탄에 대한 유류세를 20 인하했습니다. br br 올해 초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가가 더 가파르게 오르자 정부는 유류세 인하 폭을 법정 한도인 30까지 끌어 올렸습니다. br br 휘발유 기준 리터당 820원이었던 유류세가 573원까지 247원 낮아진 겁니다. br br 여기에 정부는 유류세를 높은 세율이 아닌 기본 세율로 가져가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 이렇게 되면 유류세가 리터당 57원 더 내려가게 됩니다. br br 정부는 오늘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1차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유류세 추가 인하 방안을 확정·발표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br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4일 유가와 곡물 가격을 의미하는 공급 사이드에서 물가 상승 요인이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공급 사이드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조치를 다 취하려고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br br br 이렇게 정부가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연 건 그만큼 물가 인상 폭이 크다는 의미일 텐데 물가 흐름 한번 살펴볼까요? br br [기자] br 지난달 경유가 1년 전보다 45.8, 휘발유가 27 올랐습니다. br br 가공 식품 중엔 밀가루가 26, 치즈 24.1, 식용유 22.7, 소시지 16.7, 시리얼 9.8, 빵은 9.1 가격이 올랐습니다. br br 외식 품목도 줄줄이 가격이 올랐습니다. br br 자장면이 14.1, 갈비탕 12.2, 치킨 10.9, 칼국수 10.8, 생선회 10.7, 냉면이 9.5 인상됐습... (중략)br br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32

Uploaded: 2022-06-19

Duration: 03:27

Your Page Title